[씨줄날줄] 셰프 외교/서동철 수석논설위원

[씨줄날줄] 셰프 외교/서동철 수석논설위원

서동철 기자
입력 2015-06-24 18:12
업데이트 2015-06-24 18: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백악관 주방장을 지낸 월터 샤이브가 뉴멕시코주 집 근처에서 등산길에 나섰다가 숨진 채 발견됐다는 소식이 지난 21일(현지시간) 미국 CNN의 주요 뉴스로 다뤄졌다. 이후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전 세계 언론이 앞다퉈 속보를 내보내고 있다. 그는 빌 클린턴과 조지 W 부시 전 대통령 시절인 1994년부터 2005년까지 11년 동안 백악관 수석 셰프로 일했다.

샤이브 사건을 대서특필하는 이유는 간단하다. 우리나라에서도 스타의 반열에 오르는 셰프가 생겨나듯 잘나가는 셰프는 벌써부터 선망의 대상이었다. 게다가 최고 권력자의 먹거리를 책임지는 셰프의 일거수일투족은 어느 나라나 뉴스의 초점이 된다. 무엇보다 최고 권력자의 셰프가 특히 외교적 영역에서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지 잘 알고 있다.

1975년 발레리 지스카르데스탱 프랑스 대통령은 랑부예성(城)에서 주요 7개국(G7) 정상회담을 열었다. 고민스러운 안건으로 쉽지 않았던 회의가 성공적으로 끝난 공로는 엘리제궁 수석 주방장 메르셀 르세르보에게 돌아갔다. 마지막 날 만찬 자리에서 지스카르데스탱 대통령은 각국 수뇌가 지켜보는 가운데 르세르보를 불러내 “우리가 보낸 최고의 시간을 만들어 주었다”고 공개적으로 치하했다. 최근 번역되어 나온 ‘대통령의 셰프’에 나오는 이야기다.

샤이브는 백악관을 장악하던 프랑스인 주방장을 물리치고 입성한 미국인 주방장이라는 상징성이 컸다. 샤이브의 전임은 아버지 부시 대통령에게 발탁된 프랑스인 피에르 샹브룅이었다. 그런데 후임인 클린턴 대통령은 취임 이전부터 백악관 셰프를 바꾸라는 미국인 셰프들의 공개서한을 받았다. ‘셰프의 취향이 너무 엘리트적이어서 멋만 부리는 어려운 요리를 지향한다’고 비판했지만, 결국 백악관에 미국인 요리사에 의한, 미국 요리가 있어야 한다는 압력이었다는 것이다.

샤이브는 백악관 시절 크리스테타 커머퍼드를 부주방장으로 임명하기도 했다. 커머퍼드는 샤이브가 사임한 6개월 뒤 백악관 최초의 여성 주방장이 된다. 커머퍼드는 샤이브가 “함께 일한 요리사 중 최고”라고 했을 만큼 뛰어난 능력의 소유자라고 한다. 하지만 필리핀 이민자를 백악관 주방장으로 발탁한 데 따른 정치적 노림수도 아주 없지는 않았을 듯싶다.

우리는 ‘한식 세계화’를 외치면서도 정작 ‘한식 외교’에는 눈뜨지 못하고 있다. 외국 정상이 만찬이 끝난 뒤 청와대 셰프를 불러 칭찬했다는 미담도 들은 적이 없다. 청와대 주방은 조직이 빈약하고 셰프의 역할도 한정적이라고 한다. 국빈급 외교행사는 특급호텔에 맡긴다는 이야기도 있다. ‘셰프 외교’의 부재는 해외공관에서 더욱 심각하다. 대사관 요리사 연봉이 3000만원에 못 미치니 솜씨 좋은 셰프가 나설 리 없다. 주재국 고위 인사들이 다투어 한식을 먹어 보자는 데도 대사관에서조차 차려 낼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서동철 수석논설위원 dcsuh@seoul.co.kr
2015-06-25 3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