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망친 ‘하지 감자’/문소영 논설위원

[길섶에서] 망친 ‘하지 감자’/문소영 논설위원

입력 2015-06-28 23:48
업데이트 2015-06-29 00: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그제 하지 감자를 캤다. 3월 중순에 씨감자를 넣어서 100일쯤 지난 6월 23일 하지 언저리에 캐는 감자를 ‘하지 감자’라고 부른다. 최근 주말 농부들이 ‘감자가 조막만 하다’고 한탄했지만 ‘내 감자는 그렇지 않을 것’이라고 근거없이 믿고 있었다. 그런데 웬걸! 캐 보니 겨우 너덧 살짜리 어린아이 주먹만 한 크기다. 쪄먹기에는 너무 작아 된장찌개용이다. 게다가 아무리 깊게 호미질을 해도 몇 개 찾을 수 없다.

도시농부 6년째에 감자 흉년은 처음이다. 탄저병 등 병충해로 고추농사를 망쳐도 땅속에서 자라는 감자는 늘 통통하게 여물었는데 40년 만의 가뭄에 주말 농부의 가슴도 멍들게 생겼다. 제주도 등에서 하지 감자가 쏟아져 가격이 내렸던 과거와 달리 요즘 감자 가격은 고공행진이다. 매년 하지 감자를 캐면 오빠네와 한 상자씩 나눠 먹었는데 올해는 빈손이라 망연하다.

아일랜드 농부들의 주식은 감자였는데 19세기 중반 감자 역병이 돌아 100만명이 굶어 죽자 살아남은 150만명이 미국으로 이주했던 기록이 떠오른다. 7년 연속 가뭄에 사람도 잡아먹었다는 17세기 현종 때의 ‘경신 대기근’도 생각난다. 가뭄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문소영 논설위원 symun@seoul.co.kr
2015-06-29 3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