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유행성 결막염/박찬구 논설위원

[길섶에서] 유행성 결막염/박찬구 논설위원

입력 2014-02-14 00:00
업데이트 2014-02-14 01: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사나흘 전부터 양쪽 눈이 빨갛다. 오른쪽 눈의 실핏줄이 서더니, 다음 날엔 왼쪽 눈으로 퍼졌다. 옅은 오미자차 색깔이던 양쪽 눈은 하루가 지나자 레드 와인 색으로 변했다. 안과에서는 유행성 결막염이라고 진단했다. 환자가 줄을 잇는단다.

뻑뻑하고 간지럽고, 눈이 불편하니 몸도 생활도 궤도를 벗어난다. 하루 서너 차례 고개를 90도 가까이 뒤로 꺾어 부릅뜬 눈 안으로 점안액을 정조준하는 일부터 까다롭고 적응이 되지 않는다. 새고 흘리기 일쑤다. 실핏줄에 물들어 붉어진 안약이 뺨으로 흐르는 착각에도 빠진다. 유행을 퍼뜨리고 싶지 않아 ‘불가촉’(不可觸)을 자처하니 영락없이 뒤주에 갇힌 꼴이다.

눈이 빨갛다고 세상이 붉게 보이랴마는, 정신이 온통 눈에 팔려 있는데도 하늘은 어제처럼 파랗고 흰 꽃은 여전히 하야니 홀로 동떨어진 느낌이다. 잡념이 이에 미치니 눈병 하나로 웬 호들갑이냐며 마음에서 핀잔이 오간다. 옛 선비는 고황에 병이 깊어도 평정심을 잃지 않았는데 말이다. 부끄러움에 얼굴까지 붉어진다.

박찬구 논설위원 ckpark@seoul.co.kr
2014-02-14 3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