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라디오/손성진 수석논설위원

[길섶에서] 라디오/손성진 수석논설위원

입력 2013-06-07 00:00
업데이트 2013-06-07 00: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차를 몰 때를 빼고는 라디오를 듣는 일이 거의 없다. 화려한 색상의 화면이 겸비된 방송이 전화기 속에서도 나오는 시대이니 라디오를 가까이하지 않는 것은 당연한 일일까. 텔레비전이 없던 어린 시절, 트랜지스터 라디오 옆에서 온 가족이 모여 앉아 드라마를 듣고 퀴즈도 풀던 기억이 생생하다. 화면이 없다고 문제가 되지 않았다. 연속극의 장면들이 총천연색으로 머릿속에 그려졌으니까. 라디오는 상상력을 키워 준 고마운 존재였다.

불을 꺼놓고 ‘법창야화’의 강진 갈갈이 사건을 들으면 보이는 것이 없는데도 몸이 오싹해졌다. ‘왕비열전’에서는 인목대비며 장희빈이라는 이름과 함께 조선의 역사를 배웠다. 구수한 음성으로 들려준 ‘전설 따라 삼천리’는 할머니의 이야기보따리 같았다. 당시 라디오 프로그램 중에서도 유난히 기억에 선명한 게 부산에서 방송된 ‘자갈치 아지매’다. 경상도 사투리를 쓰는 성우(그때의 성우는 김옥희씨였다)가 아침 시간에 5분 동안 신랄하게 사회 비판을 했다. 1964년 6월 7일 시작되었다는 이 프로가 지금도 장수 방송으로 살아남아 있다니 놀랍다.

손성진 수석논설위원 sonsj@seoul.co.kr

2013-06-07 2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