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옷투정/주병철 논설위원

[길섶에서] 옷투정/주병철 논설위원

입력 2011-11-07 00:00
업데이트 2011-11-07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소크라테스의 아내인 크산티페가 어느 축제일의 행렬을 보고 싶어서 남편에게 옷투정을 하니까 그는 “당신은 보러 가는 게 아니라 보이러 가고 싶은 모양이군.”이라고 핀잔을 줬다는 얘기가 있다. 우리 주변의 사례들을 보더라도 틀린 말은 아닌 것 같다. 오죽했으면 우리 속담에 ‘옷이 날개’란 말까지 생겨났을까.

집사람과 아이들도 가끔 옷투정 비슷한 걸 한다. “결혼할 때 입던 옷을 아직까지 입고 있다. 백화점에 가면 ‘누워 있는 옷’(싼 옷)만 샀지 ‘서 있는 옷’(비싼 옷)은 살 엄두를 못낸다.” 나도 어릴 때 부모남께 심심찮게 옷투정을 했던 것 같다. 내가 입고 싶은 옷을 사 주지 않고 부모님 기준에 맞춰 사 줄 때다. 오래오래 입어야 한다며 통큰 바지를 사 줄 때면 정말 싫었다.

요즘 들어서도 옷투정은 멈추지 않는다. 얼마 전까지 입던 와이셔츠가 잘 맞지 않자 몸관리하지 못한 것은 생각지도 않고 ‘나는 어떻게 딱 맞는 와이셔츠 하나 없나. 바지도 맞는 게 없네.’라며 은근히 투덜댄다. 옷투정에는 남녀노소 구분이 없나 보다.

주병철 논설위원 bcjoo@seoul.co.kr
2011-11-07 3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