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노안(老眼)/최광숙 논설위원

[길섶에서] 노안(老眼)/최광숙 논설위원

입력 2011-10-03 00:00
업데이트 2011-10-03 00: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흰머리가 늘면서 눈도 나이 들었다는 신호를 보낸다. 가까운 글씨가 안 보이기 시작한 것이다. 안경 렌즈를 바꾸러 갔더니 주인이 다목적 렌즈를 권한다. 평소 근시 안경이지만 가까운 글씨를 보면 원시 안경으로 자동으로 바뀐단다.

눈이 새로운 렌즈에 적응하는 데 시간이 걸린다는 이유를 들어 사양했다. 내심 ‘돋보기’ 렌즈를 끼고 싶지 않은 것이 내 솔직한 마음이리라. 얼마나 더 버틸지는 모르겠으나 책이나 신문을 볼 때마다 안경을 벗고 봐야 글씨가 잘 보이니 불편한 것은 사실이다. 특히 지하철에서 신문을 볼 때면 머리에 안경을 선글라스처럼 올려 놓고 봐야 하니 “나, 나이 들었소.” 하고 티 내는 것 같아 영 부담스럽다.

어디선가 노안이 오는 이유가 따로 있다는 글을 읽었다. 나이 들면 눈앞의 작은 일에 신경쓰지 말고, 크게 보라는 뜻이란다. 나이 들어서까지 사소한 일에 시시콜콜 옳으니 그르니 하면 그처럼 민망한 일도 없으리. 지혜와 여유로움, 너그러움을 노안이 주는 위안으로 삼아야겠다.

최광숙 논설위원 bori@seoul.co.kr
2011-10-03 26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