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 하면 떠오르는 것은 ‘판도라의 상자’다. 제우스는 판도라를 시켜 항아리 하나를 에피메테우스에게 보내면서 절대 열어 보지 말라 했다. 호기심을 참지 못한 판도라가 상자를 열자 안에 있던 불행, 질병, 고통이 온 세상으로 퍼져나가 버렸다. 깊숙한 곳에 오직 희망만 남아 있었다고 한다. 이 이야기는 호기심은 참으라는 초자아적 교훈, 힘든 세상을 살아갈 이유는 희망이 남은 덕분이라는 메시지를 준다.
이번 주에는 정신건강의학과의 큰 학술대회가 있다. 보통 전공의들과 학회에 참가하고 다같이 식사를 한다. 그러나 올해는 사직을 하고 병원을 비운 터라 썰렁할 것 같다. 처음 2주면 끝날 것이라 기대했고, 나중에는 ‘총선이 끝나고 나면 어떻게든 결론이 나겠지’라는 희망을 품고 버텼다. 총선이 끝나도 평행선이니 낙담이 된다. 이런 식으로 지내는 게 익숙해지는 것 같다는 체념 같은 수용을 하고 있다.
악마화된 의사에 대한 뉴스들로 상황이 끝나도 오랫동안 유지돼 온 의료진과 환자 사이의 신뢰라는 약속이 무너진 것은 되돌리기 어려울 듯하다. 집단휴학과 전공의 부재는 앞으로 몇 년간 연쇄적 혼란을 가져올 것이 불 보듯 뻔하지만, 공허한 공갈로 볼 뿐이다. 누구도 몇 년 후는 책임지지 않을 테고 그 뒤처리가 솔직히 암담하다. “이럴 때일수록 희망을 잃지 맙시다”란 말이 얼마나 값싼 당의정이자 선의의 거짓말인지 몸으로 느낀다.
베트남 전쟁 당시 추수감사절이 끝나면 전쟁이 끝날 것이란 희망으로 수용소 생활을 버티던 포로들은 추수감사절이 지나도 전쟁이 끝나지 않자 시름시름 앓다가 사망했다. 희망에 매몰되지 않고 현실을 직시한 스톡데일은 살아남아 귀국할 수 있었다. ‘스톡데일의 역설’로 알려진 이 일화는 마냥 희망과 낙관이 좋은 것만은 아니라는 근본적 의구심을 준다.
희망은 바라는 마음과 그럴 것이라는 믿음, 두 가지로 구성돼 있고 정해진 시간까지 유효기간이 한정된 감정이자 사고다. 정해진 시간이 지나면 바람이 현실이 되거나, 사그라들어 버리는 묘한 성립요건을 갖는다. 한편 바라기만 하고 이뤄질 것이라는 믿음이 없다면 성립하기 어렵다. 그래서 그런지 희망 속에 사는 사람은 믿음이 충만하고 그 힘으로 살아간다. 어찌 보면 희망을 갖는 것은 미래의 가능성을 끌어들여 오늘을 살아가는 것이다.
그렇기에 희망을 놓지 못하고 있다. 니체가 “희망은 가장 사악한 것이다. 인간의 고통을 연장시키기 때문”이라고 했듯이 희망을 손에 들고 있는 한 현실을 차마 보지 못하는 것은 마치 산소호흡기를 떼지 못하는 중환자실의 환자를 바라보는 의사와 보호자 같다.
그렇다면 제우스가 그 상자 안에 온갖 나쁜 것 중에 희망만 좋은 것으로 넣은 것은 실수를 한 것이 아닐지 모른다. 희망도 실은 나쁜 것이었다. 우물쭈물하다가 못 빠져나갔을 뿐이다. 굼뜨고 느린 데다 악몽인데도 길몽으로 포장이 돼 지금까지 밝은 편에 서서 우리를 유혹하고 있는 악질 중의 악질이다.
그렇다고 희망을 갖지 말라고 하면 잔인하고 무릎이 꺾여 버리는 기분이다. 희망, 이놈을 어떻게 해야 할까.
하지현 건국대 의학전문대학원 교수
이번 주에는 정신건강의학과의 큰 학술대회가 있다. 보통 전공의들과 학회에 참가하고 다같이 식사를 한다. 그러나 올해는 사직을 하고 병원을 비운 터라 썰렁할 것 같다. 처음 2주면 끝날 것이라 기대했고, 나중에는 ‘총선이 끝나고 나면 어떻게든 결론이 나겠지’라는 희망을 품고 버텼다. 총선이 끝나도 평행선이니 낙담이 된다. 이런 식으로 지내는 게 익숙해지는 것 같다는 체념 같은 수용을 하고 있다.
악마화된 의사에 대한 뉴스들로 상황이 끝나도 오랫동안 유지돼 온 의료진과 환자 사이의 신뢰라는 약속이 무너진 것은 되돌리기 어려울 듯하다. 집단휴학과 전공의 부재는 앞으로 몇 년간 연쇄적 혼란을 가져올 것이 불 보듯 뻔하지만, 공허한 공갈로 볼 뿐이다. 누구도 몇 년 후는 책임지지 않을 테고 그 뒤처리가 솔직히 암담하다. “이럴 때일수록 희망을 잃지 맙시다”란 말이 얼마나 값싼 당의정이자 선의의 거짓말인지 몸으로 느낀다.
베트남 전쟁 당시 추수감사절이 끝나면 전쟁이 끝날 것이란 희망으로 수용소 생활을 버티던 포로들은 추수감사절이 지나도 전쟁이 끝나지 않자 시름시름 앓다가 사망했다. 희망에 매몰되지 않고 현실을 직시한 스톡데일은 살아남아 귀국할 수 있었다. ‘스톡데일의 역설’로 알려진 이 일화는 마냥 희망과 낙관이 좋은 것만은 아니라는 근본적 의구심을 준다.
희망은 바라는 마음과 그럴 것이라는 믿음, 두 가지로 구성돼 있고 정해진 시간까지 유효기간이 한정된 감정이자 사고다. 정해진 시간이 지나면 바람이 현실이 되거나, 사그라들어 버리는 묘한 성립요건을 갖는다. 한편 바라기만 하고 이뤄질 것이라는 믿음이 없다면 성립하기 어렵다. 그래서 그런지 희망 속에 사는 사람은 믿음이 충만하고 그 힘으로 살아간다. 어찌 보면 희망을 갖는 것은 미래의 가능성을 끌어들여 오늘을 살아가는 것이다.
그렇기에 희망을 놓지 못하고 있다. 니체가 “희망은 가장 사악한 것이다. 인간의 고통을 연장시키기 때문”이라고 했듯이 희망을 손에 들고 있는 한 현실을 차마 보지 못하는 것은 마치 산소호흡기를 떼지 못하는 중환자실의 환자를 바라보는 의사와 보호자 같다.
그렇다면 제우스가 그 상자 안에 온갖 나쁜 것 중에 희망만 좋은 것으로 넣은 것은 실수를 한 것이 아닐지 모른다. 희망도 실은 나쁜 것이었다. 우물쭈물하다가 못 빠져나갔을 뿐이다. 굼뜨고 느린 데다 악몽인데도 길몽으로 포장이 돼 지금까지 밝은 편에 서서 우리를 유혹하고 있는 악질 중의 악질이다.
그렇다고 희망을 갖지 말라고 하면 잔인하고 무릎이 꺾여 버리는 기분이다. 희망, 이놈을 어떻게 해야 할까.
하지현 건국대 의학전문대학원 교수
하지현 건국대 의학전문대학원 교수
2024-04-19 26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