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주대의 방방곡곡 삶] 괴산 오일장 사람들

[김주대의 방방곡곡 삶] 괴산 오일장 사람들

입력 2020-08-04 17:36
업데이트 2020-08-05 01: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김주대 문인화가·시인
김주대 문인화가·시인
1. 다육이 할머니의 졸음

천흥암 가는 할머니가 오일장에서 산 다육이 화분을 끌어안고 정류소 의자에 앉아 존다. 지나가던 꼬부랑 할머니가 멈추어 다육이를 바라본다. 졸다 깬 다육이 할머니는 누가 묻지도 않았는데 검지를 세우며 “마넌”이라고 말한다. 지팡이 할머니가 “비싸구먼”이라는 한마디를 다육이 할머니 졸음 위에 던져 놓고는 가던 길을 간다. 다육이 할머니는 ‘비싸구먼’까지 끌어안고 아까보다 더 무겁게 존다.

2. 닭 장수 아주머니의 상술

어미 닭 1마리와 병아리 12마리를 한 상자에 함께 넣어서 판매한다. 닭 장수 아주머니와 할아버지 손님이 실랑이한다. “야들 가족 다 13만원이구먼유.” 아주머니의 말에 할아버지 손님은 만원 깎아 12만원에 달라고 한다. 아주머니가 안 팔겠다고 하자 할아버지는 병아리 두 마리 빼고 달라고 한다. 닭 장수 아주머니가 손사래를 친다. “아이고, 참말로 잔인허시네유. 이것들이 한 가족인디, 병아리 불쌍해서 그렇게는 못 팔아유, 안 팔아유.” 아주머니는 단호했다. “하따, 만원도 안 깎아 주네. 자아, 여?어, 13만원.” 결국 할아버지는 13만원에 닭 일가족을 산다. 닭 장수 아주머니의 마지막 말이 재밌다. “고마워유. 키워서 잡사 봐유, 맛은 차~암 좋은 닭이니께유.” 가족은 건드리면 안 된다는 아주머니의 상업적 고집에 고개가 절로 끄덕여진다. 장 구경이 재밌다. 병아리가 불쌍하다고 해 놓고는 키워서 맛있게 드시라고 하는 닭 장수 아주머니가 참 웃겼다. 닭 가족을 좋은 가격에 판매한 아주머니를 보고 씨익 웃었더니 아주머니도 씨익 웃는다. 나보고도 닭 한 마리 사라고 해서 가지고 갈 수가 없다니까 종이상자에 모이하고 넣어 줄 테니 물만 주면 열흘도 차에 넣고 다녀도 된다고 한다. 아이고, 닭똥 냄새는 어쩌라고. 결국 사지 않겠지만 한참 행복한 고민을 한다.

3. 괴산 할머니의 길 안내법

현금을 좀 찾을 요량으로 농협을 찾아도 찾을 수가 없다. 지나가는 할머니께 농협 가는 길을 물어본다. “저기요, 할머니, 농협이 어디 있는지 아시면 좀 알려 주세요.” 할머니는 나의 아래위를 한참 훑어보더니 무뚝뚝하게 대답하신다. “말 시키지 말고 따라와요.” 말 시키지 말라는 할머니의 말씀을 듣고는 무슨 영문인지 몰라 반문을 한다. “네?” “말하지 말고 따라오라고요.” 할머니는 아까보다 큰 소리로 내게 입을 다물라고 하신다. 나는 멋도 모르고 또 왜 그러시느냐는 대꾸를 한다. 할머니가 갑자기 빽 소리를 지르신다. “코로나.” 그제야 어리석은 나는 할머니의 의도를 알아차리고 입 다물고 할머니를 따라간다. 할머니는 농협을 지팡이로 가리키시고는 오던 길로 돌아가신다.

아차, 싶다. 길(道)을 가르쳐 주려고 일부러 여기까지 오신 것이다. 가시는 할머니를 부르며 인사를 드린다. “저기요, 할머니이~ 일부러 여까지 오시고 고맙습니다아아~.” 인사를 드려도 할머니는 대답이 없다. 다시 할머니를 부른다. “할머니이~.” 할머니는 뒤도 돌아보지 않고, 대답도 없이 그냥 가신다. 말이 길지 않고 짧은 할머니, 명랑하지 않고 무뚝뚝한 할머니. 입보다 몸을 써서 ‘道’를 가르쳐 주신 친절한 할머니의 마을, 괴산에서는 입 다물고 조용히 따라가면 도(道)에 이를 수 있겠다.

4. 시각장애인 부부의 장 구경

흰 지팡이로 여기저기 두드리며 사람들 사이를 빠져나가는 시각장애인 남편의 팔을 잡고 시각장애인 아내가 말한다. “자기랑 장 구경하는 게 제일 좋아.” “뭐가 그렇게 좋아?” 젊은 남편이 깜깜하게 묻는다. 남편의 팔을 꼭 잡은 젊은 아내가 환하게 답한다. “그냥 보기만 해도 싱싱하잖아.” 젊은 부부의 얘기를 엿들으며 마음의 눈으로 보면 모든 게 다 보일 것 같다는 생각을 한다.
2020-08-05 3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