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In&Out] 외국인, 한국 문학을 읽다/페브리아니 엘피다 트리흐타라니 서울대 국문학과 박사과정

[글로벌 In&Out] 외국인, 한국 문학을 읽다/페브리아니 엘피다 트리흐타라니 서울대 국문학과 박사과정

입력 2020-11-03 20:40
업데이트 2020-12-08 09:5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페브리아니 엘피다 트리흐타라니 서울대 국문학과 박사과정
페브리아니 엘피다 트리흐타라니 서울대 국문학과 박사과정
외국인으로서 한국 문학을 읽을 때, 그다지 쉬운 일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한국 문학에 사용된 언어는 일상어와 달라 복잡하고 각양각색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복잡하고 다양한 언어가 특히 매력적이라고 생각한다. 언어 외에도 다른 점을 고려해 보면, 한국 문학에 매료되는 다른 한 가지는, 그 안에서 포착되거나 반영된 사회문제들이다.

내가 처음으로 한국 문학을 접한 시기가 거의 10년 전이었고 학부 때 한국 문학 강의를 들었다. 주로 시를 위주로 배워서 한국 시의 특징을 배우게 되었다. 한국 시는 인도네시아 시보다 자연적인 요소를 많이 사용했다고 느꼈다. 그래서 시에서 사용된 언어도 더 아름답고 낭만적이었다. 갈수록 순수를 지향하는 시뿐만 아니라, 정치적인 시라든가, 저항 시 등에 관한 지식을 얻었다. 소설도 같이 배웠다. 사회문제를 다룬 시나 소설을 읽을 때는 그 인물과 이야기를 통해 전하는 사회, 문화, 풍습, 비판 등에 대해서도 같이 고려하게 된다. 한국 문학을 더 깊게 공부하자는 의지를 낸 계기다.

한국 시인 중에는 윤동주를 꼽을 수 있다. 그는 일제강점기의 시인 중 한 명이자 한국의 대표적인 시인 중 한 명이었다. 그의 유일한 유고 시집은 한국뿐만 아니라 외국에서도 많이 번역된 것으로 알고 있다. 2년 전에 인도네시아어로도 번역되었다. 필자는 특히 윤동주를 매우 좋아한다. 처음으로 그의 시집을 접했을 때는 단지 그 제목에 매료되었을 뿐이었고 그 안에 실린 시들을 마저 읽지 못했다. 그러다가 시인에 대한 관심이 더 생기자 그의 시를 완전히 읽었고 그때부터 윤동주에 대한 애착이 깊어졌다.

한국시는 어렵지만 윤동주 시가 그나마 읽히기가 쉬운 시이다. 그가 사용한 언어가 대부분 거의 일상어이다 보니 외국인으로서 읽기 좋은 시라고 생각한다. 이해하기 쉬운 언어이면서도 그 안에 담긴 뜻이 깊다고 본다. 그의 대표적인 시에서 따질 수 있는 핵심어를 보면, 그가 살았던 시대의 상황을 같이 생각하게 만든다.

당시 윤동주 시인은 한국말로 시를 작성했으므로 억압을 받았을까, 윤동주 시인은 “시가 쉽게 쓰여져” 괴로워했을까, 이런 생각을 하게 되었다. 그러면 당시에 일제강점기가 얼마나 끔찍했고 얼마나 압박했기에 “암흑기”라고 표현할 정도의 이유에 대해 궁금증이 생겼다. 그것이 바로 문학과 사회의 연관성이다. 특히 한국에 대해 배우고 가르치는 자로서 이 연관성을 깊이 고려해 보는 것을 중시하는 이유가 된다.

소설가로는 염상섭이 눈에 뜨인다. 필자는 그의 대표적인 소설, 즉 ‘만세전’ 혹은 ‘삼대’가 눈여겨볼 만한 작품이라고 생각한다. 특히 외국인으로서 이 작품을 읽으면 1920년대와 1930년대 한국 사회를 얼핏 엿볼 수 있다고 믿는다. 물론 문학은 허구적인 요소가 드러나 있으나 그 점을 고려해서 문학을 통해 한국 역사, 문화 및 사회를 공부하게 되는 동기를 얻을 수 있다. 앞서 언급한 염상섭의 두 가지의 작품을 읽으면 전자는 억압한 일제강점기에 한국 사회가 어떻게 몰락해 가고 있는지 한 지식인의 눈으로 볼 수 있고, 후자는 1930년대의 특히 한국 가족 제도가 어떤지를 알 수 있다. 리얼리즘 작가로서 널리 알려진 염상섭은 각 시대의 현실적인 요소를 소설 안에서 잘 포착했다.

윤동주와 염상섭은 일제강점기의 대표적인 시인과 작가이지만, 현재 활동하고 있는 현대 작가들의 작품을 읽어도 마찬가지로 한국 사회에 대해 더 공부할 수 있다. 문학의 매력이자, 한국 문학을 더욱 깊이 배우겠다고 결심한 이유다. 한국에 대한 관심이 많은 외국인에게 한국 문학을 추천해 주고 싶은 이유이기도 하다. 한국어를 할 줄 몰라도 다양한 언어로 된 번역판을 쉽게 찾을 수 있으니, 시도해 보시라.
2020-11-04 2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