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1사1교 금융교육이 필요한 이유/서태종 금감원 수석부원장

[기고] 1사1교 금융교육이 필요한 이유/서태종 금감원 수석부원장

입력 2015-06-28 17:58
업데이트 2015-06-28 20: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서태종 금감원 수석부원장
서태종 금감원 수석부원장
‘금융문맹’, ‘금융 이해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최저 수준’….

10여년 전부터 언론에 등장하는 단골 표현이다. 모두가 우리나라 금융교육의 현실을 비판하고 강화 필요성을 주문하는 보도들이다. 이뿐만이 아니다. 수많은 경제학자, 금융인, 정부 관계자도 한결같이 금융교육의 중요성을 역설하고 있다.

이처럼 금융교육이 강조되는 것은 크게 두 가지 이유에서다. 우선은 반복되는 금융위기와 금융사고, 금융상품의 복잡다기화 등에 따른 금융소비자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다. 나아가 우리나라 금융산업의 후진성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금융에 대한 국민 인식부터 바뀌어야 하기 때문이다. 금융교육이 강조되면서 그 실행 방안도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학교 교과 과정에 금융관련 내용을 보강하자는 것, 금융교육 시범학교를 운영하자는 것, 금융취약계층을 대상으로 맞춤형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자는 것 등이다. 모두 의미 있는 방안들이지만 미흡한 측면이 있다.

금융교육이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요건을 갖춘 실행 방안이 필요하다.

첫째는 ‘조기교육’이다. 저축과 건전한 소비습관, 합리적 의사결정과 자기책임 원칙 등은 어려서부터 체득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는 ‘실용교육’이다. 교과서에 실린 내용을 암기하고 시험을 위한 교육이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실천하고 도움이 되는 실용적인 내용을 전수하고 배우게 해야 한다.

셋째는 ‘풀뿌리 교육’이다. 이제 금융에 대한 기본지식은 현명한 삶을 살기 위해서는 누구나가 갖춰야 할 교양이 되고 있는 만큼 금융교육은 도시나 농어촌 구별 없이 전국의 모든 학교와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될 필요가 있다.

넷째는 ‘지속교육’이다. 이벤트성으로 이루어지는 교육이 아니라, 연령별 수준에 맞는 교육이 꾸준히 이루어짐으로써 국민들이 금융마인드를 갖추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같은 조기-실용-풀뿌리-지속 교육을 실현할 수 있는 방안이 ‘1사 1교 금융교육’이다. 전국에 산재해 있는 2만 5000개 이상의 금융회사 본·지점이 1만 1000개에 이르는 인근의 초·중·고등학교와 결연을 맺고, 금융교육을 실시하거나 후원하는 것이다. 금융교육에 필요한 교재나 매뉴얼, 방법 등은 금융감독원이 제공한다.

‘1사 1교 금융교육’을 통해 우리나라의 미래를 책임질 꿈나무들은 금융현장 경험을 갖춘 금융인 교사로부터 사례 중심, 현장 중심의 실용적인 금융교양을 배울 수 있을 것이다. 금융회사들은 본업에 적합한 사회공헌을 실천할 수 있음은 물론, 금융산업이 성장할 수 있는 무형의 금융 인프라를 확충하고, 미래 고객을 확보하는 실리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금감원은 오는 7월부터 전국의 금융회사와 학교를 대상으로 ‘1사 1교 금융교육’ 참여 신청을 받을 예정이다. 아무쪼록 많은 학교와 금융회사가 참여해 ‘1사 1교 금융교육’이 우리나라 금융교육을 활성화하는 획기적 계기가 되고, 나아가 금융산업의 발전과 국민 삶을 윤택하게 하는 밑거름이 되기를 소망해 본다.
2015-06-29 3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