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춧값이 고공행진을 하는 가운데 국내 최대의 고랭지 채소밭인 강원 강릉시 왕산면 대기리 안반데기에서 배추를 거둬들이고 있다. 연합뉴스
배추 한 포기가 2만원을 넘는다고 한다. 재래시장에서도 세 포기는 4만 5000원, 한 포기는 2만 3000원이나 한다고 식당 사장들이 놀란 입을 다물지 못한다. 그렇다고 김치 없는 밥상을 낼 수도 없다. 폭염이 이어진 데다 일부 지역은 가뭄이 겹쳐 생육이 제대로 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한 개 만원까지 뛰어올랐던 사과는 최근 가격 안정세를 간신히 되찾았다. 내렸다는 사과값도 세계 331개 도시 가운데 여전히 최고 수준이다.
고랭지 배추 주산지인 대관령조차 기후위기에 노출돼 생산량이 들쑥날쑥이다. 대구와 경북이 주산지였던 사과는 휴전선과 맞닿은 경기 포천과 강원 철원으로 재배지를 넓히고 있다. 기온 상승이 가속화하는 만큼 조만간 배추든 사과든 더이상 재배할 지역을 찾을 수 없게 된다는 뜻이다.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 생산의 위기가 우리 식탁을 강타하고 있다. 배추값이 오르자 농림축산식품부는 수입을 검토한다는 소식이다. 사과값이 천정부지이고, 배추값이 무섭다고 국민이 하소연하면 해당 농산물의 수입을 검토하는 방식의 대처로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깊어 가는 기후변화에 이런 식으로 발등의 불을 끄는 수준의 대책에 급급한다면 우리 농업이 붕괴하는 것은 필연이다. 지속가능한 농산물 생산 및 수급 대책을 마련하는 데 정부가 선제적으로 움직여야 하는 까닭이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을 중심으로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농업기술 개발이 진행되고 있음을 모르지 않는다.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 위기가 이미 현실 깊숙이 들어왔다는 경각심을 갖고 대책 마련에 속도를 붙여야 한다. 온난화에 따른 품종과 재배기술 개발로 농산물의 안정적 생산을 도모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더불어 농업 분야의 탄소배출 저감 기술을 확대하는 연구도 병행해야 하는 어려운 과제가 있다. 단순히 채소값, 과일값의 문제를 넘어 국민 식량 수호 차원의 범정부적 농업 위기 대응 노력이 이어져야 한다.
2024-09-25 3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