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결코 아프지 말아야 하는 참담한 현실

[사설] 결코 아프지 말아야 하는 참담한 현실

입력 2024-02-22 01:31
업데이트 2024-02-22 01: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윤희근 경찰청장이 21일 의료계 집단행동 관계부처 합동브리핑에서 주동자 구속 수사 등 내용의 강경 대응 방침을 밝히고 있다. 연합뉴스
윤희근 경찰청장이 21일 의료계 집단행동 관계부처 합동브리핑에서 주동자 구속 수사 등 내용의 강경 대응 방침을 밝히고 있다. 연합뉴스
의대 증원에 반대하는 전공의들이 무더기로 의료 현장을 떠났다. 의료활동의 주축이 자취를 감추면서 수술 연기와 진료예약 취소도 줄을 잇고 있다. 그제 현재 전국 100개 주요 병원 소속 전공의의 71.2%인 8816명이 사직서를 냈고 63.1%인 7813명은 근무지를 이탈했다. 의대생도 7620명이 휴학계를 냈다고 한다. 정부의 표현대로 ‘의사 집단행동’이라는 ‘사고’의 피해자는 환자와 가족이다. 의사들이 증증 환자의 고통을 볼모로 정부를 압박하고 있는 꼴이다. 고통은 시간이 흐를수록 가중될 것이다.

전국의 중증 환자가 몰리는 서울 지역 대형 병원에선 “빨리 수술을 받아야 한다고 하더니 정작 잡아 놓은 수술 날짜를 미룬다는 전화를 받았다”는 환자와 가족의 탄식이 줄을 잇는다. 전공의가 떠나 수술 연기 비율이 50% 수준으로 치솟은 이른바 ‘빅5’ 병원의 환자들은 조금의 과장도 없이 생명의 위협을 느끼고 있다. 암 같은 중증 환자가 마지막 희망을 안고 찾아가는 수도권 대형 병원일수록 전공의 이탈 규모가 크다는 현실에 실망하지 않고 분노하지 않는 환자와 가족이 있다면 거짓말일 것이다.

정부는 그동안 의사들이 요구한 대로 ‘의료사고처리특례법’으로 의료진이 위험에 빠지지 않도록 하고, 응급·소아·분만 등의 분야 보상 강화에 10조원 이상 투입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의대 교육의 내실화를 기하고 장시간 근로에 시달리는 전공의 처우도 개선한다는 약속도 했다. 그럼에도 ‘2000명 증원’이라는 국민과의 약속은 결코 달라지지 않는다는 사실을 의사와 의대생들은 깨달아야 한다. 어제는 “복귀하지 않는 주동자와 배후 세력은 구속수사하고, 복귀 거부자는 재판에 회부하겠다”는 정부 방침도 나왔다. 명분 없는 집단행동으로 국민의 마음을 잃고 실리도 잃는 일은 더이상 없어야 한다.
2024-02-22 3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