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일상 복귀 포기하지 않으면서 재확산을 막아 내려면

[사설] 일상 복귀 포기하지 않으면서 재확산을 막아 내려면

입력 2020-05-10 22:32
업데이트 2020-05-11 01: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어제 낮 기준으로 서울 이태원 클럽 관련 코로나19 확진자가 모두 54명으로 집계됐다. 황금연휴였던 지난 1일 밤~2일 새벽 클럽과 인근 주점에 머물렀던 직접 방문자 43명뿐 아니라 그 가족·지인·동료 등 기타 접촉자 11명이 추가 확진 판정을 받았다. 5월 1일 첫 발병 이후 일주일여 만에 이른 수치이고, 7명의 확진자가 지역사회에서 가족·지인 등을 전염시켜 11명의 2차 전파 사례를 보임으로써 빠른 전파 속도와 높은 전염력을 새삼 일깨워 주고 있다. 서울 30명에 경기 14명, 인천 6명, 충북 2명, 부산 1명, 제주 1명 등으로 감염 상황도 전국적이다. 특정 환자 한 명에 의한 단일 전파가 아니라 다수의 감염원에 의해 동시에 진행됐을 가능성이 거론된다.

전염을 앞서 진정시킨 나라들은 이미 재확산을 직면했거나 지금 그 기로에 서 있다. 대표적인 사례가 싱가포르이다. 지난 3월 23일 등교개학과 일상 복귀를 선언했다가 이주노동자 숙소에서 집단감염이 터져 지금껏 수습하지 못하고 있다. 1월 23일 첫 코로나19 환자가 발생한 뒤 누적 확진자 1만명을 넘어서기까지 13주가 걸렸지만, 추가 1만명이 나오는 데는 2주가 걸렸을 뿐이다. 중국도 지난 주말 신규 확진자가 9일 만에 다시 두 자릿수대로 늘었다고 한다. 특히 코로나19의 발원지인 우한에서도 도시 봉쇄가 해제되기 전인 지난달 4일 이후 처음으로 확진환자가 나왔다고 한다.

우리는 지난달 12일 이후 신규 확진자를 30명 미만으로 유지해 왔고, 그 결과로 우리 사회는 지난 6일 가까스로 일상으로 복귀할 수 있었다. 우려했던 대로 우리도 대량 집단감염을 비켜 가지는 못했지만, 정부는 그래도 일상 복귀를 포기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어제 취임 3주년 특별 연설을 통해 “방역이 경제의 출발점이지만 방역이 먹고사는 문제까지 해결해 주지 않는다”면서 “예기치 않은 집단감염이 발생한다 해도 일상 복귀를 마냥 늦출 수 없다”고 했다. 먹고사는 문제가 얼마나 시급한지 누구라도 느끼고 있다. 끝까지 방역 수칙을 잘 지키는 것 외에는 방법이 없다.

2020-05-11 3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