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北 대화 조건 턱 낮춘 문 대통령 6·15 연설

[사설] 北 대화 조건 턱 낮춘 문 대통령 6·15 연설

입력 2017-06-15 22:52
업데이트 2017-06-15 22: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문재인 대통령이 어제 북한에 중대한 깜짝 제안을 했다. 북한이 핵과 미사일의 추가 도발을 중단한다면 대화에 나설 수 있다고 밝힌 것이다. 대통령의 제안이 6·15 남북정상회담 17주년을 기념하는 자리에서 축사 성격으로 나온 것이지만 북한과 국제사회에 던지는 메시지로서 그 의미는 작지 않다. 대화의 전제가 되는 턱을 기존의 ‘비핵화’에서 ‘핵·미사일 도발 중단’으로 크게 낮춘 것이다. 대통령이 밝힌 ‘도발 중단’은 다분히 현 수준의 핵·미사일 동결을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문 대통령은 “무릎을 마주하고 머리를 맞대고 어떻게 기존의 남북 간 합의를 이행할지 협의할 의사가 있다”면서 “북핵의 완전한 폐기와 한반도 평화체제의 구축, 그리고 북·미 관계의 정상화까지 포괄적으로 논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1972년의 7·4 남북공동성명에서부터 2007년의 10·4 정상선언에 이르기까지 남북 합의 이행은 물론 3차 남북 정상회담까지 모든 가능성을 열어 둔 적극적인 대화 의지의 표현으로 해석될 수 있다.

문제는 대화의 조건인 추가 도발의 중단을 어떻게 확인할지 그 방법론에 있다. ‘잃어버린 9년간’ 어떠한 남북 창구도 갖고 있지 않은 게 지금의 현실이다. 남북 간 핫라인은 물론 물밑 접촉도, 공식 채널도 없는 상태에서 문 대통령 제안의 배경과 속내를 전달할 수도, 추가 도발 중단의 사실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도 없다. 따라서 판문점 연락사무소 재개를 위한 실무 접촉 제안 등의 후속 조치가 뒤따를지 기대된다.

북한은 6·15 공동선언실천 남측위원회의 17주년 기념행사 공동 개최를 위한 방북을 거부한 데 이어 그제는 대남기구인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성명을 통해 “우리의 자위적 핵무력을 걸고 들 것이 아니며 군사적 긴장 상태를 해소하기 위한 조치들부터 시급히 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래서 문 대통령이 “핵·미사일 고도화로 말 따로 행동 따로인 것은 바로 북한”이라면서 “우리는 우리대로 노력하겠지만 북한도 그래야 한다”고 ‘행동 대 행동 원칙’을 강조한 것으로 보인다.

가장 중요한 것은 북한의 호응이다. 더불어 어제 제안은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의 ‘압박과 대화’ 기조와 상충되지 않지만 문재인 정부의 속도가 너무 빠르다는 우려도 있는 만큼 긴밀한 한·미 협의가 필요할 것이다.

2017-06-16 3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