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삼성서울병원의 ‘메르스 사태’ 진상 꼭 밝혀야

[사설] 삼성서울병원의 ‘메르스 사태’ 진상 꼭 밝혀야

입력 2015-07-06 00:10
업데이트 2015-07-06 00:5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삼성서울병원에서 치료받던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확진 환자들이 결국 다른 병원으로 옮겨졌다. 확진자 15명 중 국립중앙의료원 등 국가 지정 격리병상으로 옮겨진 12명은 대부분 삼성서울병원의 의료진으로 알려졌다. 다른 병원들에서는 추가 확진자가 나오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이 병원에서 의료진 감염자가 또 발생하자 지켜보다 못한 방역 당국이 특단의 조치를 취한 것이다. 병원의 운영 주체인 삼성생명공익재단 이사장인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환자를 끝까지 책임지고 치료하겠다”며 대국민 사과를 한 지 불과 열흘여 만의 ‘굴욕’이다.

초일류를 자처했던 병원이 이런 한심한 지경에까지 몰린 것은 자업자득으로밖에 볼 수 없다. 메르스 사태 초기 병원을 찾아간 역학조사팀에 고압적인 태도로 일관하며 협조하지 않아 골든타임을 놓쳤다는 의혹이 잇따라 터진다. 병원 측에서는 “그런 일 없다”고 해명했지만 여러 정황들로 미뤄 그 말을 곧이곧대로 믿어 주는 사람은 없어 보인다. 일부 증언에 따르면 현장에 급파된 역학조사팀을 보안요원을 시켜 출입 통제했고, 감염 확산을 막기 위해 분초(分秒)를 다퉈 공유해야 했던 응급실 환자 명단도 “윗선과 상의해야 한다”며 제출을 거부했다고도 한다.

메르스 환자가 나온 병원을 공개하라는 여론이 봇물을 이루는데도 정부가 계속 침묵해 봐주기 의혹이 들끓었던 부분에 대해서도 뒷받침하는 정황들이 나오고 있다. 이 병원 슈퍼전파자의 감염 위력에 온 나라가 공포에 떨었던 지난달 초 뒤늦게 보건복지부에 접촉자 명단을 제출하면서 “우리가 먼저 환자에게 전화한 뒤에 연락하라”는 단서를 달았다는 의혹도 있다. 일개 병원을 제대로 관리감독하지 못한 당국의 무능도 한심하기 짝이 없지만 국가적 비상사태에서조차 환자를 한낱 소비자처럼 관리한 삼성서울병원의 오만함은 용납받기 어렵다. 그 중대한 순간에도 자신들의 입장과 이미지 관리에만 급급했다.

국무총리도 국민들에게 불편과 고통을 준 메르스 확산 사태의 책임 소재를 따지겠다고 공언했다. 대국민 사과와 자체 개혁을 선언했다고 국민적 혼란을 초래한 책임에까지 면죄부를 줄 수는 없다. 역학조사 거부는 엄연한 형사처벌 대상이다. 실책이 있었다면 마땅히 책임을 지고 넘어가야 한다. 그것이 땅바닥에 떨어진 삼성서울병원의 자존심을 챙기는 일이기도 하다.
2015-07-06 3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