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학부모 신분 조사 시도한 막장 대학

[사설] 학부모 신분 조사 시도한 막장 대학

입력 2015-05-03 17:58
업데이트 2015-05-03 20: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국외국어대가 힘 있고 돈 많은 학부모들을 따로 관리하려다 여론의 뭇매를 맞고 있다. 재학생과 휴학생 전부를 대상으로 ‘잘나가는’ 학부모 명단을 조사하려 했다니 그 발상 자체가 그저 놀라울 따름이다. 학교 측이 각 단과대에 공문으로 내려보낸 조사 지침은 치밀하고 구체적이었다. 관리 대상 학부모 직업을 고위 공무원, 국회의원, 법조인, 의사, 대기업, 일반기업 등 6개 부문으로 나눴다. 그것도 모자라 고위 공무원은 2급, 의사는 종합병원 과장, 대기업은 임원 이상이라는 식의 하한 기준선까지 제시했다. 누가 봐도 의도의 순수성을 의심할 수밖에 없는 상식 밖의 작업이다.

총학생회는 “학생들을 줄 세우는 것도 모자라 학부모 직업군까지 상대평가 한다”며 “돈 있고 권력 있는 부모는 학교발전기금을 낼 수 있으니 따로 관리하려는 꼼수”라고 학교 당국을 거세게 비판했다. 대학이 ‘주요 학부모’를 분류했다고 알려지자 학생들 사이에서는 “나머지는 부수적 학부모냐”는 성토가 이어진다. 비난이 들끓자 외대는 “학교 소식을 궁금해하는 학부모들에게 소식을 전하고 네트워킹을 추진해 보려는 취지였으나 의도가 와전된 것”이라고 부랴부랴 수습에 나섰다. 전체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조사하면 부담을 줄 수 있어 오피니언 리더급을 대상으로 먼저 조사작업을 시작했다는 옹색한 변명까지 덧붙였다.

외대는 입이 열 개라도 말할 자격이 없다. 학생들 사이에 위화감과 분열이 조장된다는 이유에서 학부모 직업 조사는 요즘 초·중·고교에서도 하지 않는다. 단과별로 내린 공문에는 6개 직업군 이외에 ‘학과장의 판단으로 학교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학부모’를 추가 파악하라는 내부 지침도 명시됐다. 이 대목은 어떻게 설명할 텐가. 학교의 변명대로라면 학교발전에 도움이 되는 학부모들끼리만 네트워킹이 되어야 한다는 말인가.

들통 나지 않았다면 다음 수순이 어땠을지 뻔하다. 학교발전에 음양으로 힘써준 부모를 둔 학생들에게는 어떤 식으로든 반대급부가 주어져야 하지 않았겠는가. 피땀 어린 등록금을 교육비로 쓰지 않고 적립금으로 빼돌린 대학에 법원이 등록금 환불 판결을 내린 게 불과 며칠 전이다. 돈 밝히는 상아탑들인 줄 익히 알지만 이렇게까지 염치를 팽개쳐서는 안 된다. 온갖 허드레 알바로 힘겹게 버티는 학생들과 그 부모들은 가슴에 피멍이 든다.
2015-05-04 3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