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송광용 靑 교문수석 돌연 사퇴 이유 뭔가

[사설] 송광용 靑 교문수석 돌연 사퇴 이유 뭔가

입력 2014-09-22 00:00
업데이트 2014-09-23 19: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송광용 청와대 교육문화수석비서관이 갑자기 물러났다고 한다. 사의를 표명하자 박근혜 대통령이 곧바로 사표를 수리했다는 것이다. 이 모두 박 대통령이 해외순방길에 나선 그제 하루 사이 일어난 일이다. 청와대 수석비서관 인사가 이렇듯 일사천리로 이루어지는 것은 매우 이례적이다. 송 수석은 “학교로 돌아가고 싶다”며 사임 의사를 밝혔다고 청와대는 설명한다. 하지만 그가 수석에 임명된 것은 지난 6월 23일이니 3개월도 지나지 않았다. 임명 과정에서는 교수 시절 제자 논문 가로채기 의혹이 제기되며 뜨거운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다. 이렇듯 박근혜 정부의 국정 운영에 적지 않은 부담을 안기며 수석 자리에 오른 인물이다. 그럼에도 100일을 채우지 못한 시점에 물러나겠다는 뜻을 스스로 밝혔다는 것은 누가 봐도 상식적이지 않다.

이번처럼 청와대 고위직이 아니더라도 정부 고위 인사의 돌연한 사퇴는 국민을 걱정스럽게 한다. 과거에도 정부 내부의 알력이 수습하지 못할 만큼 심각한 지경에 이르렀거나, 당사자의 도를 넘는 일탈이 확인됐을 때 비슷한 일이 빚어지곤 했기 때문이다. 그 결과는 당연히 정책 추진의 혼선을 빚어 국민 생활에 어려움을 주거나 국격에 타격을 가해 국민의 자존심에 상처를 주는 것으로 이어지기 마련이다. 그런데 송 수석의 퇴장은 아직도 뚜렷한 이유가 드러나지 않고 있으니 더욱 큰 문제다. 인천 아시안게임 개막 직후 청와대 담당 수석비서관의 내막을 알 길 없는 사퇴 소식은 단순한 궁금증을 넘어 뭔가 경천동지(驚天動地)할 일이 있는 것은 아닌지 국민은 불안할 수 밖에 없다.

청와대도 당혹스러울 것이다. 적지 않은 진통을 감수하며 청와대와 내각의 진용을 제대로 갖춘 지 얼마나 됐다고 이런 일이 벌어지는지 안타까울 수도 있다. 국정의 정상 운영에 속도를 내야 할 시점에 불거진 수석비서관의 ‘상식적이지 않은 퇴진’은 수면 아래로 가라앉았던 인사 난맥 논란을 다시 재점화해 국정 운영에 발목을 잡을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그럴수록 청와대는 송 수석 사퇴의 원인과 배경을 국민에게 소상히 알리는 정공법을 택해야 할 것이다. 그렇지 않아도 송 수석의 사퇴와 관련해 시중에서는 온갖 추측이 난무하고 있다. 루머는 루머를 확대 재생산할 뿐이다. 잘못된 추측이 사실인 양 퍼져 나갈수록 정치적 파문은 커질 수밖에 없다는 것을 청와대도 잘 알고 있을 것이다. 있는 그대로 밝히는 것이 부담을 더는 길이다.
2014-09-22 3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