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북, 반 발짝 더 내디뎌 대화 테이블에 앉기를

[사설] 북, 반 발짝 더 내디뎌 대화 테이블에 앉기를

입력 2013-05-17 00:00
업데이트 2013-05-17 00: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북한이 개성공단 완제품과 원·부자재 반출 문제를 협의할 실무회담을 갖자는 우리 정부의 지난 14일 제의를 사실상 거부했다. 북의 개성공단 실무기관인 중앙특구개발지도총국의 대변인은 그제 조선중앙통신과의 문답에서 “(남측 제의는) 개성공단 사태의 책임을 모면하려는 교활한 술책”이라고 비난하며 거부의 뜻을 밝혔다. “현 (박근혜) 정권을 상대해야 할지, 상대하면 해결될 것이 있는지를 신중히 검토하고 있다”고도 했다. 지금의 대치 국면을 당분간 더 이어 갈 뜻을 내비친 셈이다.

예상된 반응이라지만 대체 언제까지 언어도단의 책임 떠넘기기를 일삼으며 개성공단을 수렁 속에 내던져 놓으려는 건지 북측의 막무가내 행태가 안타깝다. 북의 주장대로 저들 스스로 공단 설비와 시설을 유지할 남측 관계자들의 출입과 물자 반출을 허용할 의사를 진작 밝혔던 게 사실이라면 대체 무슨 구실로 우리 정부의 대화 제의를 또 거부하는 것인지 의문이 아닐 수 없다. 북한이 개성공단을 폐쇄한 뒤 남측 시설과 설비를 몰수하고 이를 남포나 신의주로 옮겨 재가동하는, 이른바 ‘개성공단 플랜B’를 이미 실행에 옮기기 시작한 것이라는 분석마저 일각에서 나오는 상황이고 보면 개성공단을 넘어 북은 대체 자신들의 운명을 어디로 끌고 가려는 것인지 개탄스럽기 짝이 없다.

김정은 북 노동당 제1비서는 지금의 한반도 상황에 눈을 떠야 한다. 떼 쓰면 떡 하나 더 줬던 선대 때의 한국과 미국이 아니고, 한반도 위기가 고조되면 늘 저들 편을 들어주던 지난날의 중국이 아님을 깨달아야 한다. 지난주 비밀리에 한국을 다녀간 중국 고위급 인사가 한국 주도의 남북 통일이 불가피하며, 그 이후의 한·중 관계에 대해 논의할 시점이라고 언급했다는 얘기마저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어디까지가 진실이든 간에 중국의 변화는 중국은행 등 4대 국영은행의 북한 계좌 폐쇄 등을 통해 실체를 드러내고 있는 게 사실이다.

사면초가의 형세를 제대로 읽기 바란다. 개성공단 시설물 대부분은 이대로 두면 앞으로 두 달 안에 부식 등의 이유로 고철이 된다. 남북 관계의 파탄과 회복의 분기점이 될 공단 정상화의 시한이 두 달 남은 셈이다. 그 이후의 한반도는 누구도 원치 않는 상황으로 치달을 수 있다. 기회는 있다. 박근혜 정부가 내민 손을 지금 잡아야 한다. 6월 하순으로 예상되는 한·중 정상회담을 지켜보고 움직이기엔 북한에 남은 시간이 많지 않다.

2013-05-17 23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