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람을 개구리삼아 돌 던지는 SNS 장난

[사설] 사람을 개구리삼아 돌 던지는 SNS 장난

입력 2011-11-18 00:00
업데이트 2011-11-18 00: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최근 인기 연예인이나 국내 굴지의 대기업 회장 등 유명 인사들의 사망설이 인터넷을 통해 급속도로 퍼졌다. 일부 누리꾼이 트위터 등 각종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장난성 글을 올린 게 괴담과 루머 수준으로 가공되면서 촉발됐다. 한때 포털사이트에는 실시간 검색어 상위권에 오를 정도로 엄청난 파장을 일으켰다. 익명을 이용하는 기존의 온라인 소통 방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책임성이 있다던 SNS마저 닮아가는 형국이다. 해당 누리꾼들은 재미삼아 해본 장난일 것이다. 그 장난은 사람을 개구리 삼아 돌을 던져대는 몹시 위험한 행위다.

처음에 올려진 글은 ‘자택 안방서 숨쉰 채 발견’이란 내용이었다. 최태원 SK 회장, 가수 이효리, MC·개그맨 강호동씨 등이 차례로 당사자가 됐다. 최 회장은 선물투자 의혹 등으로 검찰 수사를 받고 있고, 강씨는 탈세 파문으로 연예계를 잠정 은퇴하는 등 개인적으로 곤경에 처해 있다. 유명인 자살 파문이 잇따르는 상황에서 ‘숨쉰 채’는 ‘숨진 채’로 착각하도록 만들기 십상이다. 한편으로는 착상이 기발하기까지 하다. 인터넷에도 표현의 자유가 있고, 올린 글도 틀린 얘기는 아니다. 따지고 보면 착시 효과에 빠져 ‘숨진 채’로 오해한 중간 전달자들에게 잘못이 있다. 씁쓸하다 못해 허탈한 심정마저 든다. 하지만 대한민국 증권시장이 술렁이고, 멀쩡하게 살아 있는 사람이 죽은 것으로 잘못 알려졌다. 던진 돌에는 개구리가 아닌 사람이 맞았고, 물 위가 아닌 세상에 엄청나게 큰 파장이 일었다. 이게 발 없이 천리를 가는 소문의 속성이다. 인터넷 세계는 그 속도에서 비할 바가 못 된다. 이번 사태의 근저에는 소중한 생명을 가벼이 여기는 도덕 불감증도 깔려 있다. 이쯤이면 표현의 자유에도 책임을 높여야 한다. 그 자유는 무한하지 않다.

SNS는 새로운 소통 수단으로 자리 잡으면서 영향력이 실로 막강해졌다. 그 틈을 비집고 각종 괴담과 악성 루머를 유포시키는 통로로 악용되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안팎으로 처방이 병행되어야 한다. 누리꾼 스스로 SNS 공간을 통해 자정 기능을 보강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아울러 SNS의 책임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법적·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2011-11-18 3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