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고엽제 묻은 미군이 진상 밝히고 책임져라

[사설] 고엽제 묻은 미군이 진상 밝히고 책임져라

입력 2011-05-21 00:00
업데이트 2011-05-21 00: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주한 미군이 1978년 경북 칠곡에 위치한 캠프 캐럴에서 “독극물인 고엽제를 묻었다.”는 충격적인 증언이 나왔다. 당시 캠프 캐럴에 근무했던 주한 미군 3명이 지난 13일 미국 CBS방송 계열사인 애리조나주 지역방송 KPHO-TV에서 밝힌 내용은 너무나 구체적이고 사실적인 까닭에 듣는 우리의 귀를 의심해야 할 정도였다. 당혹스러움을 감출 수 없다. 이들은 방송에서 “55갤런짜리 드럼통 250개를 부대 내에 매립했다.”며 “겉에는 ‘에이전트 오렌지’(고엽제)라고 쓰여 있었다.”고 털어놓았다. 그러면서 “아직도 그날 파묻은 것을 잊을 수 없다.”며 “자신들도 고엽제 피해자”라며 죄책감을 토로했다.

한·미 양국은 즉각적인 진상 규명과 함께 공동대처에 나서야 한다. 고엽제의 치명적 위력을 잘 알고 있는 만큼 주저할 수 없다. 이명박 대통령이 어제 “철저하게 파악해 피해가 없도록 조치하라.”고 지시한 것도 같은 이유에서다. 고엽제는 숲을 고사시키는 데 사용되는 맹독성 제초제로 인체 및 토양에 돌이킬 수 없을 정도로 위협적이다. 미군은 1962년부터 10년 동안 베트남전쟁에서 1900만 갤런의 고엽제를 대량 살포했다. 베트남은 여태껏 토양 복원에 나서고 있다. 우리 역시 베트남전에 참전했다가 고엽제 후유증을 앓는 환자들을 통해 고엽제의 위험성과 파괴력을 일찍이 확인했다. 현재 고엽제 후유증 환자는 3만 5363명, 후유증 의심 환자는 9만 239명에 이른다.

미군 측은 우리 정부가 요구한 사실관계를 서둘러 파악하는 동시에 현장 조사에도 적극 협조해야 한다. 환경부는 우선 주변 토양과 지하수 검사를 실시해 주민들의 증폭되는 불안감을 덜어줘야 한다. 오염 사실이 드러나면 지체 없이 비상체제에 돌입해야 함은 물론이다. 미군 측은 관련 자료뿐만 아니라 매립 지점을 찾아내기 위해 필요하다면 관련자들을 불러와야 한다. 특히 고엽제를 일반쓰레기 버리듯 처리했다면 한·미주둔군지위협정(SOFA) 차원을 넘어서는 범죄행위다. 만약 그렇다면 파장은 훨씬 심각해질 수밖에 없다. 미군 측은 모든 책임을 떠안는 자세로 진상규명에 앞장서야 한다. 그래야 한·미동맹에 별다른 훼손 없이 이번 고엽제 문제를 수습할 수 있다.
2011-05-21 27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