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서울선언’ 다함께 성장하는 디딤돌 삼자

[사설] ‘서울선언’ 다함께 성장하는 디딤돌 삼자

입력 2010-11-13 00:00
업데이트 2010-11-13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위기를 넘어 다함께 성장’이라는 주제로 열린 서울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가 핵심 쟁점을 둘러싼 막판 진통을 거친 끝에 ‘서울선언’을 탄생시키며 어제 폐막됐다. 서울 정상회의 선언문은 시장결정적 환율제도를 이행하되 경제펀더멘털이 반영되도록 환율의 유연성을 높이고, 경상수지 조기경보체제를 마련하되 가이드라인은 내년 프랑스 정상회의 때까지 합의한다는 내용을 담았다. 이 밖에 국제금융기구 및 금융규제 개혁, 개발의제, 글로벌 금융안전망 구축, 무역·에너지·반부패 척결선언 등이 포함됐다. 핵심 사안별로 각국의 이해가 첨예하게 대립한 만큼 문제들을 풀기가 쉽지 않았지만 끝까지 최선을 다해 상호 이해와 합의의 정신으로 최적의 타협점을 찾아낸 각국 정상들의 노력을 우리는 높이 평가한다.

이번 서울 정상회의를 통해 G20은 세계 경제질서를 관리하고 새로운 질서를 세우는 최상위 협의체로서 위상을 확고히 했다고 본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극복을 위해 워싱턴에서 첫 회동한 지 2년 만이다. 서울 정상회의를 통해 금융위기를 되풀이하지 않도록 고강도의 새로운 룰과 환율갈등 및 글로벌 불균형 해소를 위한 기본 장치가 마련됐다. 위기극복을 넘어서 세계 경제의 균형성장이라는 새 패러다임도 제시됐다. 중요한 것은 각국의 실천의지다. 이명박 대통령이 강조했듯이 전세계의 지속성장을 위해서는 국제공조가 매우 중요하다. 각국은 눈앞의 이익에 매달릴 게 아니라 대승적 차원에서 동반성장할 수 있는 길을 모색해야 한다. 서울선언문을 디딤돌 삼아 G20 국가들은 국제공조를 강화하는 가운데 세계 경제의 지속가능한 동반성장을 이룩해 나갈 것을 당부한다. 함께 갈 때에 더 멀리, 더 오래 갈 수 있음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한국의 괄목할 만한 위상변화는 이번 회의가 거둔 중요한 수확이다. 의장국으로서 한국은 선진국과 신흥경제국 간 무역불균형 문제 및 환율문제, 세계 금융규제 개혁 등 주요 의제를 둘러싼 이견들을 조정하고 합의를 도출해 내는 역할을 충실히 이행했다. 특히 개발이슈와 금융위기 재발 방지를 위한 글로벌 금융안전망 강화 등 우리가 주도한 의제, 즉 코리아 이니셔티브에서 적극적인 노력으로 가시적인 성과를 일궈낸 점은 의미심장하다. 새로운 세계 경제질서 창출을 주도하는 중심국가로 자리잡은 한국의 역할에 세계가 주목하고 있다.
2010-11-13 3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