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한도’를 보려면 어디로 가면 되나요?”
얼마 전 국립중앙박물관을 찾았을 때 한 관람객이 직원에게 묻는 말이 들려왔다. 덩달아 안내에 나서고 싶은 ‘오지랖’을 고이 접어 두고 나오는 길, 기증관에 여러 동선을 만들어 낼 발걸음들을 상상해 보며 내심 흐뭇했다.
추사 김정희가 제주에서 귀양살이를 할 때 자신을 잊지 않고 귀한 책을 보내 준 제자에게 답례로 그려 줬다는 걸작 ‘세한도’. ‘국보 중의 국보’라는 이 유물을 요즘 볼 수 있는 곳은 최근 새로 개편하며 다시 문을 연 국립중앙박물관 기증관이다.
2005년 박물관의 용산 이전 당시 함께 움을 튼 기증관은 평생 모은 유물을 선뜻 내놓은 기증자들의 뜻과 헌신을 기억하고 퍼뜨리기 위해 박물관 측이 심혈을 기울인 공간이었다. 하지만 기대와 달리 그간 이곳은 관람객들의 발길이 잘 닿지 않으며 잊혀진 공간이 돼 갔다.
최근 박물관이 기증관을 재개관하며 주요 기증자와 유족 10여명을 초청한 자리에서 만난 유창종 변호사도 “와당을 기증하고 기증관이 만들어져 가끔 박물관을 찾았는데 기증자들의 기대와 달리 왜 이렇게 관람객이 많지 않은지 의아했다”고 했다. 그는 더 많은 관람객들이 찾아오고, 유물 기증이 더 활발히 이뤄지려면 기증관을 더 넓히는 등 전시 공간을 개선해야 한다고 관장이 바뀔 때마다 요청했다고 했다.
이런 요구와 바람을 담아 새롭게 출발하는 기증관은 한 유물이 우리 앞에 있기까지 역사의 혼란기 해외 반출을 막고, 평생을 공들여 온 기증자의 마음을 되새기게 한다.
토기의 가치나 예술성이 주목받지 못하던 시절 주말이면 전국 곳곳을 뒤지며 선사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의 다종다기한 토기를 모은 고 최영도 인권 변호사는 이를 온전히 후세에 전해 주기 위해 1700여점을 박물관에 기증했다. 아들인 최윤상 변호사는 아버지에게 늘 이런 얘기를 들었다고 한다. “문화재라는 것은 그 나라 국민들과 사회의 것이다. 문화재 수집가는 잠시 맡아 보관하는 창고지기이다. 자신의 것으로 생각해서는 안 된다.”
이처럼 공간공간마다 고유한 이야기를 펼치는 유물과 기증자들의 사연을 일별해 보면 이들의 문화재 사랑은 ‘나와 가족이 소유하는 것’이 아닌 ‘우리 모두가 누리는 것’으로 모아진다. 이건무 전 관장이 “기증은 나에게서 우리, 개인에게서 사회로의 전환으로 모두가 문화유산의 가치를 공유하자는 뜻을 갖고 있다. 기증관 설치는 사회 구성원이 함께 박물관을 만들어 간다는 의미도 있다”고 말한 이유다.
기증은 나눔의 가치에 대한 인식을 높이며 또 다른 기증으로 이어지는 연쇄 효과를 낳는다. 2021년 삼성가의 ‘이건희 컬렉션’ 기증으로 1488점의 대규모 소장품을 품게 된 국립현대미술관의 경우, 2021년을 기점으로 이후 매년 기증 사례와 문의가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고 한다. 2022년 전체 수집품 183점 가운데 기증품은 117점으로 전체 수집품의 64%를 차지했다. 지난해에는 전체 수집품 452점 가운데 기증품이 297점, 66%로 전년보다 더 늘어난 수치를 기록했다.
기증관을 찾으면 본전시장으로 들어서기 전 긴 통로로 나 있는 ‘나눔의 길’에 들어서게 된다. 어둑한 복도 양쪽 벽 영상을 통해 기증자들의 이름과 어록을 새긴 글씨들이 보는 이에게 빛처럼 비치며 흐른다. “기증은 은하수와 같다”는 한 고교생의 말이 실감 나는 순간이다. 유물을 모두의 것으로 돌려주며, 영원한 가치를 불어넣은 이들이 낸 은하수의 길을 이번 주말 한번 걸어 보길 권한다.
얼마 전 국립중앙박물관을 찾았을 때 한 관람객이 직원에게 묻는 말이 들려왔다. 덩달아 안내에 나서고 싶은 ‘오지랖’을 고이 접어 두고 나오는 길, 기증관에 여러 동선을 만들어 낼 발걸음들을 상상해 보며 내심 흐뭇했다.
추사 김정희가 제주에서 귀양살이를 할 때 자신을 잊지 않고 귀한 책을 보내 준 제자에게 답례로 그려 줬다는 걸작 ‘세한도’. ‘국보 중의 국보’라는 이 유물을 요즘 볼 수 있는 곳은 최근 새로 개편하며 다시 문을 연 국립중앙박물관 기증관이다.
2005년 박물관의 용산 이전 당시 함께 움을 튼 기증관은 평생 모은 유물을 선뜻 내놓은 기증자들의 뜻과 헌신을 기억하고 퍼뜨리기 위해 박물관 측이 심혈을 기울인 공간이었다. 하지만 기대와 달리 그간 이곳은 관람객들의 발길이 잘 닿지 않으며 잊혀진 공간이 돼 갔다.
최근 박물관이 기증관을 재개관하며 주요 기증자와 유족 10여명을 초청한 자리에서 만난 유창종 변호사도 “와당을 기증하고 기증관이 만들어져 가끔 박물관을 찾았는데 기증자들의 기대와 달리 왜 이렇게 관람객이 많지 않은지 의아했다”고 했다. 그는 더 많은 관람객들이 찾아오고, 유물 기증이 더 활발히 이뤄지려면 기증관을 더 넓히는 등 전시 공간을 개선해야 한다고 관장이 바뀔 때마다 요청했다고 했다.
이런 요구와 바람을 담아 새롭게 출발하는 기증관은 한 유물이 우리 앞에 있기까지 역사의 혼란기 해외 반출을 막고, 평생을 공들여 온 기증자의 마음을 되새기게 한다.
토기의 가치나 예술성이 주목받지 못하던 시절 주말이면 전국 곳곳을 뒤지며 선사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의 다종다기한 토기를 모은 고 최영도 인권 변호사는 이를 온전히 후세에 전해 주기 위해 1700여점을 박물관에 기증했다. 아들인 최윤상 변호사는 아버지에게 늘 이런 얘기를 들었다고 한다. “문화재라는 것은 그 나라 국민들과 사회의 것이다. 문화재 수집가는 잠시 맡아 보관하는 창고지기이다. 자신의 것으로 생각해서는 안 된다.”
이처럼 공간공간마다 고유한 이야기를 펼치는 유물과 기증자들의 사연을 일별해 보면 이들의 문화재 사랑은 ‘나와 가족이 소유하는 것’이 아닌 ‘우리 모두가 누리는 것’으로 모아진다. 이건무 전 관장이 “기증은 나에게서 우리, 개인에게서 사회로의 전환으로 모두가 문화유산의 가치를 공유하자는 뜻을 갖고 있다. 기증관 설치는 사회 구성원이 함께 박물관을 만들어 간다는 의미도 있다”고 말한 이유다.
기증은 나눔의 가치에 대한 인식을 높이며 또 다른 기증으로 이어지는 연쇄 효과를 낳는다. 2021년 삼성가의 ‘이건희 컬렉션’ 기증으로 1488점의 대규모 소장품을 품게 된 국립현대미술관의 경우, 2021년을 기점으로 이후 매년 기증 사례와 문의가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고 한다. 2022년 전체 수집품 183점 가운데 기증품은 117점으로 전체 수집품의 64%를 차지했다. 지난해에는 전체 수집품 452점 가운데 기증품이 297점, 66%로 전년보다 더 늘어난 수치를 기록했다.
기증관을 찾으면 본전시장으로 들어서기 전 긴 통로로 나 있는 ‘나눔의 길’에 들어서게 된다. 어둑한 복도 양쪽 벽 영상을 통해 기증자들의 이름과 어록을 새긴 글씨들이 보는 이에게 빛처럼 비치며 흐른다. “기증은 은하수와 같다”는 한 고교생의 말이 실감 나는 순간이다. 유물을 모두의 것으로 돌려주며, 영원한 가치를 불어넣은 이들이 낸 은하수의 길을 이번 주말 한번 걸어 보길 권한다.
정서린 문화체육부 차장
2024-02-16 25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