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 시각] 성김 주한미국대사에 거는 기대/김균미 국제부장

[데스크 시각] 성김 주한미국대사에 거는 기대/김균미 국제부장

입력 2011-11-11 00:00
업데이트 2011-11-11 00: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김균미 편집국 부국장
김균미 편집국 부국장
성 김 주한미국대사가 10일 한국에 부임했다. 미국과의 수교 129년 만에 첫 한국계 미국 대사라는 스포트라이트를 받으며 부인, 두 딸과 함께 서울에 도착했다. 내정된 지 넉달여 만이다. 1990년대 주한 대사관에 근무할 때나, 6자회담 대표 겸 대북특사로 한국을 수시로 방문했을 때와는 감회가 남다를 것이다. ‘기대 반, 부담 반’이 솔직한 심정 아닐까 싶다.

성 김 대사를 처음 대면한 건 2008년 2월 14일이다. 날짜까지 정확하게 기억하는 건 워싱턴특파원으로 부임하던 날이었기 때문이다. 북한 핵 협상이 진행 중인 상황에서 당시 6자회담 미국 측 수석대표였던 크리스토퍼 힐 국무부 동아태차관보가 한국특파원들과 비공개 저녁을 하는 자리였다. 힐 차관보가 비보도 조건이기는 하지만 한국특파원들만 따로 만나 북한 핵 등 현안에 대해 얘기를 한 것은 처음이었다. 그리고 그 자리에 국무부 한국과장 자격으로 성 김 대사가 다른 직원들과 함께 배석했었다. 훤칠한 키에 신중하다는 첫인상을 받았던 기억이 생생하다.

이후 비공식·공식적으로 여러 차례 만나면서 ‘외유내강’형의 외교관이라는 인상을 받았다. 한국특파원들과 만날 때는 대부분, 특히 공식적인 자리에서는 영어로 소통을 한다. 비공식적인 자리에서는 한국어로 이야기를 나눈 적이 여러 번 있다. 중학교 1학년 때 미국으로 이민 갔기 때문에 한국어를 유창하게 구사한다. 물론 어휘력과 표현력이 한국인들과 차이가 나고, 적확하게 표현할 필요가 있으면 한국어 대신 영어를 쓰지만 소통에는 전혀 문제가 없다.

정·관계에 포진해 있는 초등학교(은석초) 동창들과 두터운 친분을 유지하고 있는 것도 성 김 대사에게는 자산이다. 한국에서 대학을 졸업한 아내를 맞은 것도 한국 문화, 한국인, 한국적 정서에 대한 이해의 폭을 자연스럽게 넓히는 기회가 됐을 것으로 믿는다.

성 김 대사의 이 같은 면들은 미국대사로 활동하는 데 장점이자 한국민들에게 호감으로 작용한다. 하지만 호감을 갖는 것과 지나친 기대는 구분해야 한다. 성 김 대사는 한국계 미국인이다. 미국 정부와 미국의 이익을 최우선적으로 대변하는 건 너무나 당연하다. 때문에 우리의 입장에서, 우리 식으로 무리하게 요구하는 건 경계해야 한다.

한국 국민들이 50대 초반의 성 김 대사에게 거는 기대는 크다.

먼저 시기적으로 한·미 양국 관계가 매우 중요할 때 부임했다. 현재 한·미 정부 관계자들은 양국 관계가 그 어느 때보다 좋다고 입을 모은다. 때문에 주변에서는 이제 내리막밖에는 갈 곳이 없다는 얘기들을 자주 한다. 더욱이 내년 한국에서는 총선과 대선이 치러진다. 여야가 뒤바뀌거나 정권이 바뀔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럴 경우, 한·미 동맹관계에 변화는 불가피해 보인다. 한·미관계의 미세 조정이든, 대폭적인 재조정이든 어떤 경우에라도 성 김 대사의 역할이 중요하다.

얼마 전부터 한반도 주변에 북한 핵 문제를 해결하려는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다. 이와 맞물려 북·미, 남북 관계 변화 가능성도 제기된다. 큰 틀의 정책 방향은 본국에서 결정하겠지만 다년간 북한 핵 문제를 다뤄온 국무부 내 최고의 북한 전문가인 성 김 대사의 전문성이 발휘될 수 있는 대목이다.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의 한국 국회 비준이 난항을 겪고 있다. 올여름 불거진 주한미군의 고엽제 문제에다 급증하고 있는 주한 미군 범죄 등으로 한·미 주둔군 지위협정(SOFA)을 개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반미 감정이 다시 고개를 드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있다. 미국에 대한 세대 간 인식 차도 벌어지고 있다.

부임 직전 밝혔듯이 정치인뿐 아니라 젊은 층과 장년·노년층 등 다양한 계층의 일반인들을 많이 만나길 바란다. 이들의 걸러지지 않은 얘기들, 이면에 깔려 있는 주장들, 한국 사회의 저변에서 일고 있는 미묘한 변화들을 정확히 파악해 한·미관계를 한 단계 업그레이드하는 데 기여하는 진정한 ‘소통자’가 되길 기대해 본다. “웰컴 홈!”

kmkim@seoul.co.kr

2011-11-11 3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