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마당] 미술품, 그것을 향한 사람들의 ‘미묘한’ 시선/임형주 팝페라 테너

[문화마당] 미술품, 그것을 향한 사람들의 ‘미묘한’ 시선/임형주 팝페라 테너

입력 2013-07-25 00:00
업데이트 2013-07-25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임형주 팝페라테너
임형주 팝페라테너
얼마 전 오랜 인연을 이어오고 있는 지인의 추천으로 서울 사간동에 위치한 갤러리현대에서 ‘김환기 탄생 100주년 회고전’을 함께 관람했다. 늘 바쁜 일상에 치여 사느라 따로 시간을 내 미술관이나 갤러리를 갈 엄두가 나지 않았기에 오랜만의 갤러리 나들이는 그 자체로도 이미 마음이 ‘힐링’되는 기분이었다. 큐레이터의 정성어린 해설과 함께 김환기 선생의 주옥 같은 작품들을 감상한 뒤 지인과 큐레이터 그리고 나와 어머니, 이렇게 넷이서 함께 점심식사를 하며 ‘미술’을 주제로 대화를 나누게 되었다.

나는 문화예술계에 몸담고 있지만 아무래도 본연이 음악가이기 때문에 미술에는 그다지 조예가 깊지 않은 편이다. 그렇기에 어머니가 수십년 전에 구입한 국내 유명 화백의 작품을 포함해 집에 걸려 있거나 보관되어 있는 몇몇 작품들을 잘 관리하고 있는 건지, 그리고 평소 미술품에 대해 갖고 있던 궁금증을 풀기 위해 질문했다. 여러 뜻깊은 대화를 나누던 중 대뜸 큐레이터에게 “저희 집에 있는 그 작품의 경제적 가치가 어느 정도 되나요? 그리고 아까 말씀하신 그 작품은 향후 투자가치가 큰 것인가요?”라는 질문을 하게 되었는데, 집으로 돌아오는 차안에서 왜 그런 질문을 했는지 살짝 부끄럽게 느껴졌다.

예술가의 혼이 깃든 ‘예술작품’을 마치 은행 PB(프라이빗 뱅크)에서 거래하는 ‘투자상품’처럼 생각해 버린 ‘무지함’과 은근한 ‘속물근성(?)’에 낯이 뜨거워지기까지 했다. 이러고도 내가 문화예술인이란 말인가? 가슴 깊이 반성하고 또 반성했다. 그러고는 이내 문득 이런 생각을 하게 되었다. 이런 질문을 하게 된 배경에는 그동안 ‘미술품’과 관련하여 우리나라에서 벌어졌던 여러 사건들 때문인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말이다. 그동안 심심찮게 터져 나온 추악한 비자금 사건들에는 늘 ‘미술품’이 ‘중심축’을 이루지 않았던가!

어디 그뿐인가? 국내 언론들 또한 이러한 사건, 사고가 터지면 엄청난 기사들을 쏟아낸다. 평소에도 해외 경매에서 얼마에 입찰되었다느니, 국내 작가 중 최고가를 기록했다느니 하며 미술품의 상품화를 부추기는 것은 물론 요즘 강남 부자들의 확실한 재테크 수단은 미술품이라는 등 적나라하다 못해 황당한 기사들까지 내놓지 않았던가? 따라서 나 또한 일반인들처럼 무의식중에 미술품에 대한 나름의 선입견과 함께 색안경을 낀 채 바라보게 되었는지 모르겠다.

물론 물질만능주의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는 ‘미술품’조차 값을 매기는 것이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일 수도 있을 게다. 하지만 ‘미술품’은 공장에서 찍어내는 일반적인 ‘상품’이 아니다. 한 예술가가 치열한 고독과 싸우며 기나긴 인고의 세월을 거쳐 뼈를 깎는 고통 속에서 탄생시킨, 그야말로 피와 땀의 결실이요 결정체인 것이다. 그렇기에 우리는 그것을 ‘미술품’이라 부르지 않고 ‘미술작품’이라 부르는 것이 아닐까.

우리나라가 진정 문화선진국으로 확실히 자리매김하려면 예술을 바르고 온전하게 향유할 줄 알아야 한다. 그리고 모범을 보여야 할 ‘사회지도층’들이 먼저 미술품을 비자금 은닉이나 투자용도로만 이용하는 저급하고도 부끄러운 짓을 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이러한 것이 고쳐지지 않는 이상, 우리는 영원히 명작을 명작으로 바라보지 못하는 불행을 겪게 될 것이 자명하다.

2013-07-25 3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