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를 열다] 1960년대 중산층 가정

[DB를 열다] 1960년대 중산층 가정

입력 2013-05-07 00:00
업데이트 2013-05-07 00: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968년 5월 2일 촬영한 어느 중산층 가정의 거실 풍경이다. 소파와 탁자가 있고, 부모와 아이들은 신문과 잡지를 읽고 있다. 도자기와 액자가 놓인 장식장도 있다. 먹고살기도 어려웠던 당시 이런 서양식 거실을 갖춘 양옥에서 살았으면 부유층 집안이었다. 아이들은 넷이다. 당시에는 집집마다 평균 네댓 명의 자녀가 있었다. 사진 속의 아이들은 전후에 태어나 현재 50대 중반의 나이가 되었을 소위 베이비붐 세대들이다. 이런 부유층의 주택은 서울에서도 극히 일부 지역에만 존재했다.

그렇다면, 당시에 일반 가정의 생활상은 어떠했을까. 한국식 주택은 방과 부엌, 마당, 화장실이 서로 분리돼 있었다. 두세 개의 방이 있고 거실 대신 마루가 있고 마루와 마당은 벽으로 막혀 있지 않다. 부엌은 마당으로 나가야 들어갈 수 있고 음식을 해서 방으로 나른다. 화장실도 마당의 한쪽에 있는 재래식이다. 마당에 수돗가나 우물이 있어서 세탁과 세수를 밖에서 한다. 이런 전통 가옥은 1960년대 들어 서서히 변모하기 시작한다. 서양식 주택 설계로 방과 거실, 화장실, 부엌이 모두 한 평면에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실내에 있는 입식 부엌과 싱크대는 여성들에게 말할 수 없는 편리함과 노동의 절감을 선사했다. 이런 편리함의 추구는 아파트 문화를 낳았다. 한국인들의 유별난 아파트 사랑은 주택 부족을 단기간에 해소하는 동시에 전통주택의 불편함을 해결해 주는 장점 때문이었다.

손성진 국장 sonsj@seoul.co.kr

2013-05-07 3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