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어린이날 우리 어린이의 행복을 생각한다

[사설] 어린이날 우리 어린이의 행복을 생각한다

입력 2011-05-05 00:00
업데이트 2011-05-05 01: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올해도 어김없이 어린이날이 돌아왔다. 오늘 하루 전국 유원지와 놀이시설, 공연장·백화점 등지에는 부모의 손에 이끌려 나온 어린이들의 해맑은 웃음소리가 가득 울려퍼질 것이다. 부모들 또한 오늘만큼은 최선을 다해 자식들을 기쁘게 해주려고 애쓰기 마련이다. 그렇다면 우리사회에서 자라는 어린이들이 평상시에는 얼마나 행복할까.

한국방정환재단과 연세대 사회발전연구소가 함께 설문 조사한 결과를 보면 우리 어린이와 청소년이 느끼는 주관적 행복지수는 65.98점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23개국 가운데 가장 낮았다. 평균점수 100점에서 한참 떨어지는 것은 물론이고 바로 위인 헝가리와도 20점 넘게 차이 나는 참담한 수준이다. 하긴 올해 새로 나타난 현상은 아니다. 2009년부터 3년 연속 60점대 점수로 이 부문에서 꼴찌를 기록해 왔다.

부모는 제 자식을 신주 받들 듯 하는데도 막상 어린이들 스스로 행복하다고 느끼지 못하는 까닭은 무엇일까. 그 원인은 복합적이겠으나, 근본적인 문제는 사회가 아이들을 함께 키우지 않고 부모에게 그 책임을 전적으로 떠맡기는 현 체제에 있다고 본다. 아이들은 부모의 재산과 사회적 지위 등에 상관없이 일정한 정도로 성장할 때까지 사회의 보호를 받아야 한다. 그래야만 공정한 경쟁 기회를 얻을 수 있고, 공정한 경쟁을 경험해 봐야 이기고도 겸손할 줄 알며 지고도 다시 일어서게 된다. 하지만 지금처럼 본인의 능력·노력보다 외적인 힘이 우열을 결정짓는 상태에서는 아무도 행복하지 못한 무한경쟁에서 헤매게 될 뿐이다. 그 대표적인 예가 공교육 현장이 무너진 교육 부문임은 두말할 나위가 없을 터이다.

우리사회가 어린이 문제에 무심하다는 사실은 정치권에서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18대 국회에서 그동안 아동 관련법 개정안은 모두 32건 나왔는데 그중 1건만이 ‘의원 자진철회’로 처리됐고 나머지는 무관심 속에 방치되었다. ‘최소한의 도덕’이라는 법으로마저도 보호받지 못하는 아이들을 과연 국가·사회의 미래라고 말할 수 있는가. 어린이들이 행복하지 않은 건 결국 어른들의 잘못이다. 우리 사회가 다같이 아이들을 키우고, 그럼으로써 우리 미래가 ‘더불어 사는 사회’가 되도록 어른들이 통렬히 반성해야 할 시점이다.
2011-05-05 3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