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장애인이 일자리를 잡으려면/김영배 서울시 장애인일자리 통합지원센터장

[기고] 장애인이 일자리를 잡으려면/김영배 서울시 장애인일자리 통합지원센터장

입력 2011-04-14 00:00
업데이트 2011-04-14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해 우리나라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2만 달러를 회복했다. 그러나 노동소득 배분율은 59.2%로 전년보다 1.7% 떨어져 2004년 이후 처음으로 60%를 밑돌았고, 1974년 이후 36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다. 기업의 이익은 커졌으나 근로자들에게 돌아간 건 별로 없다. 오히려 제 밥그릇조차 챙기지 못했다고 얘기할 수 있다.

이미지 확대
김영배 서울시 장애인일자리 통합지원센터장
김영배 서울시 장애인일자리 통합지원센터장
경제가 어려워지고 사회가 불안정해지면 가장 먼저 타격을 받는 것은 장애인을 비롯한 사회적 약자들이다. 편의시설과 장애인보조기의 미비로, 특수교육의 더딘 발전으로, 장애에 대한 편견으로 성장과정에서부터 불평등을 경험하며 자란 장애인들은 사회 진입을 위한 출발선이 비장애인들에 비해 한참이나 뒤처져 있다. 이 때문에 우선정리 대상이 되거나 채용 기피의 사유가 되어 궁지로 내몰린다.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지레 겁을 먹고 스스로 스타트 라인에서 내려오는 일일지도 모른다.

장애인이 빈곤과 차별이라는 이중의 굴레에서 벗어나 당당하게 사회의 일원으로 인정받으려면 안정적인 직업 획득이 필요하다. 장애인에게 직업은 경제적 자립이라는 표면적인 의미 외에도 많은 것을 내포하고 있다. 직업은 주류사회에서 소외되어 있던 장애인에게 비장애인과 같은 사회의 일원이라는 소속감을 준다. 또한 비장애인에게도 인식 개선의 기회를 주어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사회 통합을 위한 실마리를 제공한다.

취업의 문을 두드렸으나 별 소득이 없어 좌절하는 장애인이라면 필자가 근무하는 서울시장애인일자리통합지원센터에서 개최하는 ‘서울시 장애인취업박람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오는 20일 서울무역전시컨벤션센터(SETEC)에서 열리는 박람회에는 250개 업체가 모두 1500명의 장애인 일자리를 모집한다. 행사 당일에는 라디오 생방송이 이루어져 참여하지 못하는 장애인들도 현장 분위기를 느낄 수 있도록 돕는다.

성공은 노력하는 자의 것이다. 구직을 원하는 많은 장애인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실속을 챙길 수 있기를 바란다. 박람회장을 찾는 장애인들에게 몇 가지 팁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먼저 단정하게 옷을 입어야 함은 불문가지이다. 다음으로 이력서는 미리 준비해야 한다. 또 온라인 취업박람회를 활용할 것을 권한다. 이번 취업박람회는 온·오프라인 양쪽에서 진행된다. 먼저 온라인 취업박람회를 통해 참가업체를 살펴보고 자신에게 맞는 일자리를 가늠해 두면 현장에서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경쟁률이 셀 것 같은 괜찮은 회사를 발견한다면 직무에 맞는 자기소개서도 미리 준비해두자. 콕 집어 우리 회사를 원하고 준비해 온 당신에게 면접관은 감동할 것이다.

지난 겨울, 구제역으로 시작된 한파는 동일본 대지진과 원전 사고, 그리고 리비아 사태와 유가 상승 등으로 이어지면서 국민을 혹한으로 몰아넣었다. 더욱이 최근에는 방사성물질이 서울 전역에서 검출되면서 전 국민을 공포에 떨게 하고 있다. 그러나 겨울의 끝에는 반드시 봄이 있다. 겨울이 추울수록 봄은 더 찬란하게 꽃을 피울 것이다. 우리 장애인들이 긴 겨울 혹독한 눈보라를 뚫고 취업의 문을 통과하여 미래를 위한 꽃망울을 터뜨리길 기대해 본다.
2011-04-14 3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