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대학교수/주병철 논설위원

[씨줄날줄] 대학교수/주병철 논설위원

입력 2011-02-28 00:00
업데이트 2011-02-28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때 우리 사회에 꽤나 유행했던 ‘대학교수와 거지’의 공통점이란 개그가 있었다. ‘어렵지만 한번 되기만 하면 더없이 편하다.’ ‘맛들이고 나면 결코 그만둘 수 없다.’ ‘출퇴근 구애 받지 않아도 된다.’는 뜻을 가진 우스갯소리였다. 이 개그는 우리 사회에 비친 대학교수의 실체를 적나라하게 풍자한 것으로 실소를 금치 못하게 했다. 인재를 키우는 큰 스승으로, 다른 한편으로 철밥통·논문표절·도덕불감증으로 대변되는 상아탑 어른들의 부끄러운 자화상이었다.

상아탑의 역사는 중국 주나라의 국학이나 기원전 387년에 플라톤이 설립한 아카데미아에서 기원을 찾는다. 우리나라에는 고구려 때 태학, 신라 때 국학, 고려 때 국자감이 있었다. 현대적 의미의 대학은 중세 말 유럽에서 시작됐다고 보는 게 정설이다. 처음에는 사제들에게 교회 기도문을 읽을 정도의 초보적인 교육을 했지만 12세기 들어 학생수와 규모가 엄청나게 늘어 대도시에는 수백명의 학생을 둔 학교가 생겨나기 시작했다. 이탈리아 볼로냐대, 프랑스 파리대, 영국 옥스퍼드대 등이 건립된 것도 이 무렵이었다.

중세 유럽 대학에서 흥미로운 것은 규모가 커지면서 영향력이 확대된 건 교수가 아니고 학생들이라는 사실이다. 학생들은 출신 지역별로 상인과 수공업자 조합조직을 본뜬 길드 조직을 결성해 교수에게 압력을 행사했다. 무능·어용 교수를 그대로 내버려두지 않았고, 허가 없이 교수가 하루도 쉴 수 없었다. 교수는 학생 대표에게 잘 가르치겠다며 충성 서약을 해야 했고, 부실한 강의에 대해서는 벌금을 물었다.

입지가 좁아진 교수들이 학생들의 횡포(?)에 맞서기 위해 조직한 게 콜레지아(collegia)였다. 당시 교수들은 유명한 법학자나 신학자를 제외하고는 수입이 적고 지위도 극히 불안정했다. 그래서 같은 동료의 강의 수준이 높아야 자신들의 지위가 안정될 수 있었기 때문에 콜레지아에 회원으로 받아들이는 데 능력과 품위 심사를 엄격히 했다고 한다. 이 심사는 사실상 교수 자격을 따지는 절차로, 요즘 말로 ‘교수 학위’ 심사쯤 된다.

대학교수 수난시대다. 학생들이 매기는 강의평가를 공개해야 하고, 1년에 2~3개의 논문을 써서 국제 학술지 등에 올려야 살아남을 수 있다. 그런 가운데 제자폭행·성추행·학력위조 등으로 잇따라 사회적 물의를 빚고 있다. 학문에만 매진하는 교수들이 매도당할까 봐 안타깝다. 현대판 콜레지아라도 만들어야 할지.

주병철 논설위원 bcjoo@seoul.co.kr
2011-02-28 3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