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살인놀이 킬 팀/이춘규 논설위원

[씨줄날줄] 살인놀이 킬 팀/이춘규 논설위원

입력 2010-09-11 00:00
업데이트 2010-09-11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영화 ‘디어 헌터’(1978)는 꽃다운 청춘들의 잔인한 전쟁이야기다. 종종 사슴 사냥을 하던 미국 젊은이 세 명이 베트남전에 참전, 포로가 되어 잔인한 고문과 죽음의 공포로 인해 육체와 정신이 망가진다. 고문의 한 방법인 러시안 룰렛(회전식 연발권총에 총알 한 발만 장전하고, 머리에 총을 겨누어 방아쇠를 당기는 목숨을 건 게임)에 빠져 막장까지 간다. 전쟁은 잔인하다. 인간의 광기를 격발시킨다. 보복이 보복을 낳고, 피가 피를 부르는 악순환. 인간을 짐승처럼 만든다.

전투물자 암시장은 전장보다 더 치열하다. 베트남전쟁 때 암시장은 잔혹했다. 황석영은 ‘무기의 그늘’을 통해 세 명의 입장에서 베트남전쟁을 해석한다. 암시장의 진상을 파악하려는 한국 수사대 요원 안영규의 눈으로 전장 밖 전쟁이야기를 펼쳤다. 안영규는 베트남의 해방을 위해 싸우는 공작요원 팜 민 등과 암시장을 매개로 관계를 맺는다. 살아남기 위해 서로 먹고 먹힌다. 비참하게, 교활하게 삶을 이어가지만 인간성은 철저히 파괴된다.

1980년 군 시절 베트남전 전투부대 출신인 한 부사관의 증언은 지금도 생생하다. 그의 눈은 살기로 빛나 독사로 불렸다. 피맛을 봤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파병 용사들은 처음 전투에서는 총을 하늘에 대고 쏠 정도로 겁을 낸다. 하지만 옆에서 전우가 총을 맞아 다치거나 숨지면 눈빛이 급변한다. ‘피맛’을 보며 살기를 뿜어낸다. 복수의 일념에 잠재된 잔인성이 폭발, 킬러로 변한다. 전쟁은 사람을 완벽하게 바꾼다.”고 설명했다.

이라크 주둔의 앳된 미국 여군이 알몸의 이라크인 수감자 목에 개처럼 줄을 묶은 뒤 의기양양하게 포즈를 취한 모습은 전쟁의 인간파괴를 보여줬다. 참전 뒤도 심각하다.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TSD)다. 총격전이나 폭격 등을 경험하며 정신적 타격을 받아 정상적 사회생활이 어렵게 된다. 싱크탱크 랜드연구소의 지난해 조사에 따르면 이라크·아프간 전쟁 참전 후 귀국한 미군 중 20%가량인 30만명이 PTSD나 우울증세를 갖고 있다.

아프간에서 살인놀이를 한 소위 5명의 미군 ‘킬 팀(kill team)’. 미군 스트라이커 여단 캘빈 깁스(25) 하사 등 5명이 올 1·3·5월 세 차례 아프간 민간인 3명을 수류탄과 총으로 쏴 살해하고, 일부는 죽은 사람의 손가락을 기념품으로 보관했다가 최근 적발됐다. 시신 옆에 서서 기념촬영도 했다. 수많은 양민학살 등 보다 끔찍한 전쟁 참상은 허다하다. 인간을 송두리째 파괴하는 전쟁은 피하자.

이춘규 논설위원 taein@seoul.co.kr
2010-09-11 2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