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눈] 대통령의 자서전/이창구 정치부 기자

[오늘의 눈] 대통령의 자서전/이창구 정치부 기자

입력 2010-08-03 00:00
업데이트 2010-08-03 00: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이창구 정치부 기자
이창구 정치부 기자
정치인의 책을 지하철에서 읽기란 쉽지 않다. 겉표지를 장식한 큼직막한 얼굴 사진을 힐끗힐끗 쳐다보는 다른 사람들의 시선이 부담스럽기 때문이다. 지난 4월 한 정치인의 자서전을 지하철에서 드러내놓고 읽었다. 노무현 전 대통령의 자서전 ‘운명이다’가 바로 그 책이다. 그의 삶과 원칙, 인간적인 고뇌가 너무나 강렬해 주위 시선에 아랑곳하지 않고 빠져들었다. ‘운명이다’의 느낌이 채 가시기 전인 지난달 29일 1365쪽에 이르는 방대한 자서전이 나왔다. ‘김대중 자서전’이다. 치밀했던 그의 성격 그대로 한국 현대사를 망원경과 현미경으로 번갈아가며 풀어냈다.

자연스럽게 두 자서전을 비교하게 됐다. 노 전 대통령은 김 전 대통령을 “세계에 자랑할 만한 지도자”라고 평가했다. 김 전 대통령은 노 전 대통령의 영전에 바친 조사에서 “저승이 있다면 거기서도 기어이 만나 못한 이야기를 나눕시다.”고 울부짖었다. 두 전직 대통령이 서로에게 섭섭했던 지점은 ‘대북송금특검’뿐이었다. 김 전 대통령은 믿었던 후계자(?)가 자신의 ‘인생’이나 다름 없던 햇볕정책을 지켜주지 않는 것 같아 서운해했고, 노 전 대통령은 법과 원칙 앞에서 고뇌했다.

둘의 의견 차이는 호기심을 자극했고, 이를 ‘부각’시키는 기사로 이어졌다. 메일과 댓글이 쏟아졌다. ‘서거하신 두 분을 싸움시키니 좋냐.’는 매질이 많았다. 그러나 애초에 그런 취지가 아니었다. 전직 대통령들의 자서전을 중요한 사료로 간주하고, 두 개의 시각에서 역사적 사건을 돌아보고 싶었을 따름이다.

한국의 역대 대통령은 아홉 명이다. 대부분이 불행한 말로로 집권 기간을 솔직하게 밝힌 자서전을 남기지 못했다. 다소 극단적인 제3자의 평론이 자서전을 대신하고 있는 실정이다. 외국에선 대통령 자서전이 ‘정치학 교과서’ 대접을 받는다고 한다.

아직 건강한 다른 전직 대통령들도 자서전을 냈으면 좋겠다. 현직 대통령은 앞선 두 전직 대통령의 자서전을 꼭 읽어 보면 좋겠다. 독자들도 일부만 발췌한 기사에 흥분하기보다 직접 자서전을 일독했으면 하는 바램이다.

window2@seoul.co.kr
2010-08-03 3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