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지역브랜드/노주석 논설위원

[씨줄날줄] 지역브랜드/노주석 논설위원

입력 2010-05-20 00:00
업데이트 2010-05-20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영국 스코틀랜드의 경제중심지 글래스고는 1961년 110만명이던 인구가 1990년에는 70만명으로 줄었다. 경기침체 여파였다. 실업률도 1960년 2.8%에서 1989년 15.8%로 치솟았다. 1980년대 초 시와 주민 대표들이 머리를 맞댔다. 도시 마케팅의 첫걸음은 ‘Glasgow’s MIiles Better’로 잡았다. 쇠퇴하는 공업도시를 문화, 예술도시로 색깔을 바꾸자는 도심재생 전략을 세웠다.

글래스고는 1990년 유럽의 문화수도로 선정됐다. 1982년 70만명에 불과하던 관광객수가 300만명으로 늘었다. 2004년에는 ‘Glasgow: Scotland with style’이라는 새로운 브랜드 캠페인을 내걸었다. 결과적으로 10여 년의 각고 끝에 바르셀로나와 브뤼셀에 버금가는 창조산업의 중심지로 탈바꿈하는 데 성공했다. 메인 쇼핑가인 뷰캐넌 스트리트는 뉴욕 5번가, 파리 샹젤리제, 런던 뉴본드 스트리트에 이어 세계에서 7번째 임대료가 비싼 거리가 됐다.

뿐만 아니다. 세계 최대 도시 뉴욕을 세계 최고의 도시로 자리매김시킨 ‘I ♥ NY’의 위력은 대단했다. 시드니는 2000년 올림픽 개최를 계기로 ‘There is no place in the world like Sydney’란 구호를 내세워 지구인을 매혹시켰다. 스페인 북부 바스크지방의 작은 도시 빌바오의 변신은 놀라웠다. 1997년 건축가 프랭크 게리가 설계한 구겐하임 박물관의 개장으로 단숨에 ‘City of Guggemheim’으로 자리잡았고 연간 100만명의 관광객이 돈을 뿌리는 예술도시로 우뚝 섰다.

2002년 만들어진 ‘Hi! Seoul’은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도시브랜딩이다. 2006년 ‘Soul of Asia’를 하위 슬로건으로 개발해 함께 사용하고 있다. 부산의 ‘Dynamic BUSAN’, 경기도의 ‘Global Inspiration 세계 속의 경기도’ 등 지자체 등이 출원한 지역 브랜드는 자그마치 1만 2117건이다. 이 중 농·축산물과 식품류가 4583건에 이른다.

지역 브랜드는 차고 넘치고 지역 이미지는 손발이 따로 논다. 한국지역진흥재단(이사장 남효채)이 ‘지역 브랜드 총람집’과 ‘지역 브랜드 매뉴얼’이라는 두 권의 책을 최근 펴냈다. 총람집은 지역 브랜드의 모든 것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 매뉴얼은 처음으로 선보이는 지역 브랜드 전략과 현황, 관리정책 등에 대한 길라잡이 역할을 하고 있다. 지역 브랜드란 다른 지역과 차별화된 이름, 기호, 상징물 혹은 이들의 조합이라는 이 책의 기본정의에 충실한 브랜딩 전략 재수립이 절실하다.

노주석 논설위원 joo@seoul.co.kr
2010-05-20 3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