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B-Boy兵 /김성호 논설위원

[씨줄날줄] B-Boy兵 /김성호 논설위원

입력 2010-03-17 00:00
업데이트 2010-03-17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유행가 가사가 귀에 쏙쏙 박히기 시작하면 늙는 징조란다. 늙는다는 게 어디 나이만의 궤적일까. 세상 이치를 막연히나마 이해하고 받아들일 줄 아는 인정의 지혜를 겨눈 말일 게다. 유행가. 사랑의 테마가 보편적이지만 우리네 삶과 처지를 녹인 축소판이겠다. 나라 잃은 설움의 응축인 ‘황성옛터’며 ‘울밑에선 봉선화’, 동족상잔의 비극을 노래한 ‘이별의 부산정거장’…. 군사정권 시절 아침 저녁 귀찮을 만큼 귀를 자극했던 ‘새마을 노래’도 따져보면 유행가라면 유행가가 아닐까. 일부러 만들어낸 억지의 건전가요였지만. 어쨌든 늘상 생기고 사라지곤 하는 유행가는 어쩔 수 없이 시대와 세태를 담아내기 마련이다.

유행가가 노랫말로 대중을 움직인다면, 유행어는 촌철살인의 짧은 말로 심중을 겨눈다. ‘지구를 떠나거라.’ ‘잘돼야 할텐데….’처럼 경색된 사회상을 꼬집은 풍자가 흔했다가 요즘엔 실업이나 어려운 생활상을 빗댄 은어풍이 유행이다. 이태백, 사오정에 청년실신까지. 개그맨이나 연예인들이 입에 올려 젊은 층을 대상으로 급속히 퍼져나가는 요즘 유행어가 지닌 함의, 기지는 신기할 만큼 번득인다. 아무래도 대중이 인정하고 받아들일 만한 사회적 요인과 계기가 충만할 탓일 게다.

유행가, 유행어의 생멸은 사회의 변천을 닮는다. 갈라지고 확산되는 영역의 투영인 셈이다. 지금도 어른들이 젊은이들을 향해 푸념조로 뱉곤 하는 ‘말세야 말세.’ 탄식이 아득히 먼 태고에도 있었다는 우스갯소리를 들으면 보편의 정서야 어디 갈까마는, 그래도 역시 유행의 노래나 말들은 사회를 빼닮게 마련인가보다. 물론 상식과 도덕의 테두리 안에서라면 더욱 흡인력이 강할 터. 그러지 않아도 젊은 층의 유행어는 이젠 선량들이나 학자들까지 허물없이 입에 담아 낸다지 않는가.

군(軍)은 보통의 사회에선 동떨어진 이색지대로 통한다. 국토방위의 우선적 가치에 매몰된 특수상황의 분리된 별세계인 셈이다. 유행가, 유행어란 도통 먹힐 것 같지 않은…. 그런데 요즘 현역병들이 가진 천양의 주특기를 들여다 보면 군이 더 이상 특별한 이색지대가 아닌 것 같다. 병영에서 발생하는 사망자 장례를 도맡는 장의 전문 ‘영현등록병’, 조종사들의 비행 시뮬레이션을 담당하는 ‘e-스포츠병’, 전세계에서 춤 기량을 인정받은 비 보이(B-Boy)들로 구성된 ‘동아리 지도병’까지. 육군에만도 무려 289개의 주특기병이 있단다. 이쯤되면 군대가 아닌 군사회라 불러도 틀린 말은 아닐 듯싶다. 군 참 많이 변했다.

김성호 논설위원 kimus@seoul.co.kr
2010-03-17 3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