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일자리 미스매치 해소” TF 가동

정부 “일자리 미스매치 해소” TF 가동

박승기 기자
박승기 기자
입력 2022-12-22 20:04
업데이트 2022-12-23 01: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고용 위기’에 9개 부처 참여
취약계층 안전망 확충 지원

이미지 확대
방기선(오른쪽) 기획재정부 제1차관이 2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고용노동부 등 관계부처와 함께 ‘일자리 TF’ 1차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뉴시스
방기선(오른쪽) 기획재정부 제1차관이 2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고용노동부 등 관계부처와 함께 ‘일자리 TF’ 1차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뉴시스
내년 ‘고용 한파’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면서 정부가 일자리 태스크포스(TF)를 가동했다. 민간·지역 중심의 일자리 창출과 고용취약계층의 노동시장 진입 촉진에 필요한 정책을 뒷받침할 계획이다.

고용노동부와 기획재정부는 2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관계부처 합동으로 ‘일자리 TF’ 1차 회의를 개최했다. TF에는 고용부와 기재부를 비롯해 9개 부처가 참여한다. TF는 경제 불확실성이 높은 가운데 내년 고용지표 둔화가 예상됨에 따라 고용 상황을 점검해 선제 대응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올해 고용시장은 일상회복에 따른 경제활동 참여 및 일자리 수요 확대, 비대면·디지털 전환 수요 등으로 큰 폭(80만명)으로 상승했다. 11월 기준 고용률(15~64세)이 68.5%, 실업률은 2.9%로 2000년 이후 최고 고용률과 최저 실업률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내년은 기저효과와 경기 둔화, 코로나19 방역 일자리 감소 영향 등으로 취업자 증가폭이 크게 둔화될 것으로 전망됐다.

정부는 올해의 12.5%(10만명) 수준을 예상한 가운데 한국은행(9만명), 한국개발연구원(8만명), 한국노동연구원(8만 9000명)의 전망치는 더 낮았다. 인구 감소 영향 등으로 고용률(68.7%)과 실업률(3.2%)은 소폭 상승할 것으로 추산했다.

정부는 내년에 민간 주도 고용시장 회복을 위해 양질의 일자리 창출 기반을 확충하고 창출된 일자리에 적합한 인력이 원활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고용서비스를 밀착 지원할 계획이다.

청년·여성·고령자 등 고용취약계층에 대한 안전망 확충을 통해 고용률을 높이고 일자리 미스매치의 근본 원인을 해소하기 위한 노동시장 구조개혁에도 속도를 내기로 했다.
세종 박승기 기자
2022-12-23 3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