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사주 소각·두둑한 배당… 주주 붙잡는 삼성

자사주 소각·두둑한 배당… 주주 붙잡는 삼성

김헌주 기자
김헌주 기자
입력 2024-02-02 03:27
업데이트 2024-02-02 03:2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삼성물산, 3년간 자사주 전량 소각
보통주 2550원·우선주 2600원 책정
주주환원 강화에 주가 14만원 돌파

삼성전자, 3년간 年9.8조 배당 유지
잔여 재원 발생 땐 추가 환원 검토

이미지 확대
삼성그룹 ‘맏형’ 삼성전자에 이어 지주사격인 삼성물산도 나란히 주주환원 정책을 발표하고 투자자 붙잡기에 나섰다. 주주 가치를 높여 장기 투자를 유도하는 게 기업 가치를 끌어 올려야 하는 회사 입장에서도 유리하다는 판단에서다. 시장은 삼성물산이 호실적과 함께 들고 나온 자사주 소각 계획에 곧바로 움직였다.

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삼성물산은 전날보다 7.75% 오른 14만 87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삼성물산 주가가 14만원 선을 넘긴 것은 2021년 8월 9일(14만 2500원, 종가 기준) 이후 2년 5개월 만이다.

삼성물산이 전날 실적 발표를 하면서 공개한 주주환원 정책의 핵심은 자사주 소각 일정을 5년에서 3년으로 앞당기고 같은 비율로 소각하겠다는 것이다.

삼성물산은 지난해 2월 향후 5년간 자사주(보통주 2471만 8099주, 우선주 15만 9835주)를 전부 소각하겠다고 발표했다. 시가 기준으로 약 3조원 규모였다. 자사주 소각은 시장에 유통되는 발행 주식 수를 줄여 주당순이익(EPS)을 높인다. 이 때문에 자사주 매입, 배당 확대 등 다른 정책보다 더 강력한 주주 환원 정책으로 평가받는다.

이후 삼성물산은 2015년 합병 시, 합병 반대 주주의 주식매수청구권 행사로 취득한 자사주 129만 5411주(보통주)를 먼저 소각했고, 남은 2342만 2688주를 올해부터 3년간 균등 분할 방식(매년 780만 7563주)으로 소각하기로 했다.

기준 금액은 이사회 결의 전날인 지난달 30일 종가(12만 9700원)로 해마다 1조원 이상의 자사주를 소각하는 셈이다. 시장이 반응한 것도 회사가 소각 일정을 구체화해 불확실성을 없앴기 때문이다. 자사주를 전량 소각하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등 특수관계인의 지분도 소폭 늘어난다.

올해 배당 규모도 보통주 주당 2550원, 우선주 주당 2600원으로 책정했다. 삼성물산은 삼성전자 등 지분을 보유한 관계사로부터 받는 배당수익의 60~70%를 배당 재원으로 삼고 있는데 올해는 최대치인 70%를 적용했다.

같은 날 삼성전자도 앞으로 3년간 배당 규모(매년 9조 8000억원)를 지난 3년과 동일 수준에서 유지하기로 했다.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늘더라도 시설 투자액이 덩달아 증가하면 주주에게 나눠줄 현금이 부족할 수 있지만 일단 주주와의 ‘약속’을 통해 주주 붙잡기에 나선 것이다. 삼성전자는 충분한 잔여재원이 발생하면 추가 환원도 검토하겠다는 여지도 남겼다.
김헌주 기자
2024-02-02 2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