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전기생산 1위 여전히 석탄발전

국내 전기생산 1위 여전히 석탄발전

나상현 기자
입력 2020-11-29 16:10
업데이트 2020-11-29 16: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금융지주사들이 올 들어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그룹의 핵심가치로 내세우고 있지만 여전히 석탄발전 투자는 지속되고있다.  기후솔루션 제공
금융지주사들이 올 들어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그룹의 핵심가치로 내세우고 있지만 여전히 석탄발전 투자는 지속되고있다.
기후솔루션 제공
정부가 2050년까지 석탄발전 비중을 0%로 줄이겠다고 선언했지만, 여전히 우리나라 전력생산 1위는 석탄인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전력통계속보에 따르면 올해 9월까지 생산된 전력은 41만 2397GWh(기가와트시)로, 코로나19 여파로 전년 대비 2.5% 감소했다. 이 가운데 석탄발전은 15만 1959GWh로, 전체 에너지원 가운데 가장 많은 36.8%를 치지했다. 지난해보다 10.5% 감소하는 등 탈석탄 기조는 유지되고 있지만 여전히 우리나라 전력생산에 기여하는 정도는 높다.

원자력발전은 3.1% 늘어난 11만 7607GWh(28.5%)를 기록했고, 액화천연가스(LNG) 발전은 0.2% 증가한 10만 5049GWh(25.5%)가 생산됐다. 신재생에너지발전은 정부의 확대 정책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2.5% 줄어든 2만 8123GWh를 생산했다. 전체 비중도 6.8%로, 지난해(6.5%)보다 0.3%포인트만 늘어났다.

당장 정부가 석탄발전 의존도를 낮추는 것은 쉽지 않을 전망이다. 이미 건설 중인 석탈반전소만 해도 신서천화력(1GW), 고성하이화력(2GW), 강릉 안인화력(2GW), 삼척화력(2GW) 등 7GW 규모에 달하기 때문이다. 최근 정부는 2025년까지 석탄발전을 신재생에너지로 대체해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밝혔지만, 전체 에너지원의 37%에 달하는 석탄발전을 30년 안에 0으로 만들기 위해선 보다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전략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세종 나상현 기자 greentea@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