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위아 ‘전자식 차동 제한장치’ 국내 첫 양산

현대위아 ‘전자식 차동 제한장치’ 국내 첫 양산

유영규 기자
유영규 기자
입력 2017-09-27 23:50
업데이트 2017-09-28 02: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현대위아가 국내 부품업체 최초로 고성능차의 핵심 부품인 ‘전자식 차동 제한장치’(e-LSD)를 국산화하는 데 성공했다. 현대위아는 e-LSD의 개발을 완료하고, 경남 창원 3공장에서 연 5000대 규모로 생산에 들어갔다고 27일 밝혔다. e-LSD는 주행 상황에 따라 좌우 바퀴에 전달할 구동력을 자동 조절해 주행 안정성을 높이는 부품이다. 평소에는 동력을 좌우 바퀴에 50대50으로 분배하지만 한쪽 바퀴가 모래 등에 빠졌을 경우 자동으로 반대쪽 바퀴에 구동력을 집중해 탈출을 돕는다. 윤준모 현대위아 사장은 “노면이나 주행 상황이 변하면 0.15초 만에 반응하는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확보했다”면서 “연말 출시 예정인 현대자동차 ‘i30N’에 탑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유영규 기자 whoami@seoul.co.kr

2017-09-28 2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