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 뉴시스
19일 금융당국 및 금융권에 따르면 금감원은 이번달 초부터 신협에 부문(수시) 검사를 진행했다. 신협의 연체율은 지난달 말 기준 6% 후반대로 지난해 말(3.63%) 대비 3%포인트가량 상승했다. 이 때문에 금감원이 연체율 관리, 부실채권 매각 등의 상황 점검에 나선 것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다른 상호금융권의 연체율 상승 폭은 둔화하고 있지만 신협은 오히려 4월 이후 더 치솟고 있다”이라며 “관리하기 어려운 수준까지 온 것으로 판단돼 수시검사에 나서게 됐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말 기준 신협의 총자산은 149조 7000억 원 규모로 농협(517조 1000억원), 새마을금고(287조원)에 이어 상호금융권에서 세 번째로 크다. 하지만 부실 대출 증가와 이에 따른 충당금 적립으로 인해 적자를 면치 못하는 단위조합이 크게 늘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 신협의 단위조합은 총 869개인데 이 중 275곳이 적자를 기록했다. 단위조합 10곳 3곳 이상이 이익을 남기지 못한 것이다. 2022년 말까지 42개에 불과했던 적자 조합이 1년 만에 555%나 늘어났다.
신협은 지방 소재 미분양 아파트, 빌라, 콘도 등 비우량 부동산 대출 비중이 높다. 해당 채권들이 부실화돼 시장에 매물로 나오게 되면 건전성 지표가 더 악화할 가능성이 크다.
신협은 다음 달 중 부실채권 관리 전문 자회사 ‘KCU NPL 대부’를 설립해 건전성 관리에 나설 방침이다. 농협, 새마을금고처럼 부실채권을 사들여 추심을 진행하거나 경·공매를 추진하겠다는 취지다. 신협중앙회 관계자는 “자회사의 규모를 늘려가면서 연체채권을 체계적으로 정리해 나갈 예정”이라며 “상호금융권 전반적으로 업황이 좋지 않은 상황 속에서 연체가 유의미하게 해소되기까지는 시간이 다소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