빗썸 ‘수수료 무료’ 정책 넉 달 만에 종료…“영원히 지속할 순 없어”

빗썸 ‘수수료 무료’ 정책 넉 달 만에 종료…“영원히 지속할 순 없어”

유규상 기자
유규상 기자
입력 2024-02-02 14:24
업데이트 2024-02-02 14: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빗썸 로고. 빗썸 제공
빗썸 로고. 빗썸 제공
가상자산(암호화폐) 거래소 빗썸이 수수료 무료 정책을 넉 달 만에 끝내기로 했다. 그간 점유율을 확대하고 신규 고객을 끌어모으며 인기몰이했지만 지속되는 손해를 더 이상 감수하기 어려웠던 것으로 보인다.

2일 빗썸은 오는 5일 자정부터 빗썸에서 거래를 지원하는 모든 가상자산에 대해 0.04%의 수수료를 적용한다고 밝혔다. 빗썸은 지난해 10월 투자자 부담 완화를 통한 고객 확보를 목적으로 업계 최초로 수수료 무료화 정책을 도입했다. 이를 통해 국내 거래소 1위인 업비트를 추격하면서 한 때 일일 거래량이 업비트를 웃도는 성과를 내기도 했다. 빗썸 관계자는 “영원히 지속할 수는 없는 정책이기에 리워딩 등 혜택을 보완해 다시 유료화로 전환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유료 전환은 예고된 일이었으나 무료 수수료 정책에 이끌려 신규로 유입된 이용자를 붙잡을 수 있을지는 과제로 남았다. 빗썸은 무료화 도입 이전에 고객들에게 0.25%의 수수료를 적용했다. 다만 거래량이 많거나 구매 희망 자산의 가격이 높은 경우 최대 0.04%까지 수수료를 적용했는데, 앞으로는 모든 고객을 대상으로 쿠폰을 지급할 예정이다. 쿠폰 코드를 등록하면 30일 동안 0.04%의 수수료가 적용되고 유효기간이 끝나면 계속해서 재발급이 가능한데, 쿠폰을 등록하지 않을 경우 0.25%의 수수료가 적용된다.

빗썸 관계자는 “0.04%의 수수료는 기존 빗썸의 수수료 대비 84%가량 적은 수준”이라면서 “업계 평균 수수료인 0.2%보다도 낮다”고 설명했다. 업계 1위인 업비트는 일괄적으로 0.05%의 수수료를 적용하고 있다.

빗썸은 수수료 무료를 통해 한 자릿수에 불과했던 시장 점유율을 30~40%까지 끌어올린 것으로 알려졌다. 투자자들의 관심도를 높이는 효과도 있었는데, 여론조사기관 데이터앤리서치가 지난해 10월부터 12월까지 온라인 정보량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4분기 빗썸은 전 분기 대비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 중 유일하게 정보량이 두 자릿수로 증가했다. 가장 높은 정보량을 기록한 곳은 업비트였다.

유규상 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