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전 악용? 5대 은행 월 100건꼴 ‘대출 반품’

급전 악용? 5대 은행 월 100건꼴 ‘대출 반품’

최선을 기자
입력 2017-10-12 21:22
업데이트 2017-10-13 02: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출 철회권 1년간 1041건 실행

수수료 없어 이사비 등 활용 여지
홍보 부족… 신청 건수는 적어


은행에서 받은 대출을 2주일 안에 ‘반품’할 수 있는 대출계약 철회권 제도가 시행 1년 만에 국내 은행권에서 1000건 넘게 실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매달 100명 정도의 고객이 수수료 없이 대출을 취소해 더 금리가 낮은 대출로 갈아타는 등 혜택을 본 셈이다. 다만 급전이 필요한 경우 제도를 악용할 소지도 있어 보완장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2일 서울신문이 5대 시중은행에 확인한 결과 지난해 10월 28일 제도 시행 이후 지난 9월 말(NH농협은 8월 말)까지 ▲KB국민 238건 ▲신한 136건 ▲KEB하나 329건 ▲우리 120건 ▲NH농협 218건 등 모두 1041건이 실행된 것으로 집계됐다. 사실상 11개월 동안 매달 95명이 대출을 ‘반품’한 셈이다.

대출계약 철회권은 14일 이내에 대출계약을 철회하겠다는 의사를 밝히고 원리금을 상환하면 중도상환 수수료 없이 취소할 수 있는 제도다. 2억원 이하 담보대출이나 4000만원 이하 신용대출이 대상이다. 아예 대출기록이 삭제돼 신용등급도 낮아지지 않는다. 다만 담보대출의 경우 근저당 설정비 등 부대비용은 갚아 줘야 한다. 2억원 주택담보대출 기준 부대비용은 150만원 수준이다. 신용대출은 원리금만 갚으면 된다.

이 제도는 부적절한 대출로 피해를 보는 소비자를 보호하려는 목적으로 도입됐다. 실제로 시중은행보다 매력적인 신용대출 금리를 제시한 카카오뱅크 출범 이후 더 낮은 금리를 찾아 갈아타려는 움직임이 커진 것으로 보인다. 신한은행의 경우 카뱅 출범 이후인 지난 8~9월에 대출 철회 신청이 전체의 25% 넘게 몰렸다.

금융위원회 관계자는 “소비자들이 중도상환 수수료 면제에 따른 이익과 부대비용 지급에 대한 비용을 따져서 철회를 신청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악용 우려도 나온다. 실제로 한 시중은행에선 철회를 실행한 계좌 대부분에서 대출금이 다른 은행으로 빠져나갔다가 다시 들어온 것으로 나타났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이사 등으로 급한 돈이 필요한 경우 악용할 수 있는 여지가 크지만 의심이 가는 건이라도 은행은 횟수 제한만 지키면 대출을 취소할 수밖에 없다”고 하소연했다. 철회권은 한 은행에선 1년에 두 번, 전체 금융회사를 대상으로는 한 달에 한 번 행사할 수 있다.

홍보 부족도 보완해야 할 점으로 꼽힌다. 전국 수백개 지점에서 대출이 일어나는데 아직 은행별로 매달 10~30여건 정도만 철회 신청이 접수되고 있기 때문이다. 또 다른 시중은행 관계자는 “당초 예상보다 대출계약 철회 건수가 적은 편”이라면서 “제도가 정착되면 신청이 더욱 늘 것”이라고 덧붙였다.

최선을 기자 csunell@seoul.co.kr
2017-10-13 22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