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공공기관 주식 투자 내부통제 ‘허술’

금융공공기관 주식 투자 내부통제 ‘허술’

강국진 기자
강국진 기자
입력 2017-09-27 18:04
업데이트 2017-09-28 19: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임직원들 미공개 정보 활용 가능
4곳선 거래 현황 확인조차 안 해
부당이득 등 비리 발생 가능성 커
높은 수준의 통제 시스템 갖춰야
이미지 확대
금융공공기관들이 임직원의 주식 투자 등 금융 거래를 통제할 수 있는 내부 규정을 제대로 갖추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최근 감사원 감사에서 주식 거래 등 각종 비리가 확인된 금융감독원과 유사한 문제가 재발될 수 있어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김선동 자유한국당 의원은 27일 7개 금융공공기관의 내부 규정을 점검한 결과 예금보험공사와 신용보증기금, 주택금융공사, 한국자산관리공사 등 4개 기관은 주식 등 금융투자상품 거래 현황을 확인조차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4개 기관의 ‘임직원 행동강령’에는 금융투자상품 보유·거래가 제한되는 부서의 매매금지 서약서 제출, 직무상 알게 된 정보 사용 금지 등 실제 구속력은 거의 없는 선언적 규정만 담겨 있다.

특히 캠코는 기업개선부, 금융투자관리부, 채권인수부, 해양금융부 등 71명으로 구성된 금융사업본부를 운용하면서도 직무 관련 정보를 이용한 거래를 제한한다는 규정이 있지만, 실제 주식 거래 현황은 파악하지 않고 있다. 주금공은 선물과 옵션 등 파생상품에 투자할 때만 신고 의무를 부과해 주식은 규제 대상에서 아예 빠져 있고, 스마트폰 주식 거래에 대해서는 이렇다 할 내부 통제 장치가 없는 실정이다. 예탁결제원은 금감원과 같은 수준으로 주식 거래를 제한하고 있지만 거래 횟수만 관리할 뿐, 보유·거래 금액은 신고 대상에서 제외돼 있다.

김 의원은 “금융공공기관은 금융회사와 기업의 감독 및 조사, 대출, 보증, 컨설팅 등 고유 업무를 추진하면서 내부 정보를 소상히 들여다볼 수 있고, 기관 간 정보를 공유하는 과정에서도 다양한 정보를 접할 수 있기 때문에 더 높은 기준의 도덕성이 필요하다”면서 “금융공공기관 임직원의 재산권이 다소 제한되더라도 공익적 관점에서 지금보다 높은 수준의 내부통제 시스템을 갖출 수 있도록 제도 개선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세종 강국진 기자 betulo@seoul.co.kr

2017-09-28 22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