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 하위 40% 월세 비중 늘었지만
고소득층 월세 비중은 오히려 줄어
“저가 주택이 월세 돌리기 쉬운 탓”
통계청의 가계동향조사 원시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 3분기 전국주택의 평균 전세가는 2억 436만원으로 1년 전보다 8.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9일 서울 서대문구 북아현동 아파트 단지의 모습.
오장환 기자 5zzang@seoul.co.kr
오장환 기자 5zzang@seoul.co.kr
마이크로데이터를 보면 지난해 3분기 전세로 사는 가구의 평균 전세보증금은 1억 8909만원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올 3분기엔 2억 436만원으로 1년 새 8.1% 증가했다. 이는 통계청 가계동향조사 표본으로 선정된 4000여 가구(2인 이상 비농림어가)가 직접 기재한 금액에 가중치를 반영해 산출한 것이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 전셋값은 65주 연속(11월 30일 기준) 상승하며 전세난이 심화되고 있는데, 가구의 가계부에도 고스란히 나타난 것이다.
부동산 가격 급등이 가구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건 가계동향조사 과정에서 산출되는 월세평가액에서도 드러난다. 지난해 3분기 78만 5000원이었던 월세평가액은 올해 85만 4000원으로 8.8% 늘었다. 월세평가액은 조사대상 가구의 주거와 생활여건, 노후 정도와 유사한 주택을 월세로 빌린다고 가정할 때 지불해야 하는 총금액을 말한다. 자가와 전세, 월세 등을 가리지 않고 모두 월세평가액을 매기기 때문에 가구의 주거비 부담을 직간접적으로 추론할 수 있다.
월세로 주거 형태가 전환되는 현상이 저소득층에만 국한되고 있다는 점에서 양극화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다. 소득 1분위와 함께 2분위(하위 20~40%)에서도 월세 비중이 19.3%에서 20.1%로 확대됐다. 반면 중산층과 고소득층인 3~5분위(소득 40% 초과)는 월세 비중이 지난해와 비슷하거나 오히려 감소했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 수석전문위원은 “저가나 중소형 주택일수록 집주인이 월세로 돌리는 게 수월하다”며 “전세자금 대출이 있음에도 저소득층 월세 비중이 늘어나는 건 공급적 요인이 작용한 영향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김진 한남대 글로벌비즈니스학과 교수는 “저소득층은 자산을 축적할 여력이 부족할 수밖에 없는 데다 코로나19 어려움이 심화되면서 주거 형태에서 (월세 가속화로) 변화가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며 “최근의 집값 상승이 집을 가진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 간 격차를 벌린 측면도 있다”고 진단했다.
세종 임주형 기자 hermes@seoul.co.kr
2020-12-10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