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주택 더 늘었다… 분노하는 2030

무주택 더 늘었다… 분노하는 2030

하종훈 기자
하종훈, 나상현 기자
입력 2020-11-23 22:36
업데이트 2020-11-24 13: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작년 325만 5215가구 무주택… 3.4%↑
30대 무주택 가구 통계 작성 후 첫 증가

집값 상승 등 영향 2030 내집마련 요원
“무주택 젊은 세대 대출 규제 풀어줘야”
이미지 확대
지난해 집이 없는 30세 미만 가구가 1년 전보다 7.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30대(30~39세) 무주택 가구도 2015년 통계 집계 이래 처음 증가세로 전환됐다. 집값 상승과 대출 규제로 내 집 마련의 꿈이 요원해진 2030세대가 분노할 수밖에 없는 이유가 통계로도 확인된 셈이다.

23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2034만 3188가구 중 집을 소유하지 않은 무주택 가구는 888만 6922가구(43.6%)로 집계됐다. 2018년(874만 5282가구)보다 1.6%(14만 1640가구) 늘었다. 연령별로는 30세 미만이 142만 1843가구로 전년보다 7.9%(10만 4370가구) 증가해 전 연령대 가운데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30대 무주택 가구도 183만 3372가구로 0.1%(1412가구) 늘었다. 이는 2015년 관련 통계 집계 이래 첫 증가 기록이다. 이에 따라 지난해 30대 이하(2030세대) 무주택가구는 모두 325만 5215가구로 2018년에 비해 3.4% 증가했다. 지난해 전체 무주택가구 가운데 30대 이하 비율도 36.6%로 전년(36.0%)보다 상승했다. 사회 초년생과 신혼부부들이 본인 힘으로 집을 살 수 없는 구조로 점점 바뀌고 있다는 얘기다.

전문가들은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 정책 실패를 주요 원인으로 진단했다. 서진형 대한부동산학회 회장(경인여대 교수)은 “5년 전엔 2030세대가 대출을 받아 집을 살 수 있었는데, 지금은 집값이 너무 올랐고 대출도 막혀 있다”고 지적했다. 김진 한남대 글로벌비즈니스학과 교수는 “청년층이 예전보다 좋은 직장을 구하기 힘든 상황에서 부모 도움 없이는 서울에 집을 살 수 없는 구조”라고 말했다. 국토교통부가 지난해 실시한 ‘주거실태조사’에 따르면 신혼부부의 47%가 가장 필요한 주거지원으로 ‘주택 구입자금 대출지원’을 꼽았다. 심교언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정부가 무주택자 젊은 세대에 한해 대출 규제를 풀어 줘야 한다”고 제언했다.

세종 하종훈 기자 artg@seoul.co.kr
세종 나상현 기자 greentea@seoul.co.kr



2020-11-24 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