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시장 수도권·지방 양극화 심화

주택시장 수도권·지방 양극화 심화

류찬희 기자
입력 2017-10-23 22:12
업데이트 2017-10-23 22: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수도권 아파트값 1.91% 상승…지방 道 지역 0.97% 떨어져

미분양 수도권은 63% 줄고 지방은 51% 급증해 ‘극과극’

주택시장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다. 정부의 잇따른 주택시장 안정대책 발표에도 불구하고 수도권 집값이나 청약 경쟁률은 강세를 띠지만 지방은 침체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23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올 들어 9월 말까지 수도권 아파트값은 1.91% 오른 반면 지방 도(道) 지역은 0.97% 떨어졌다. 집값 오름세는 대도시에서 두드러졌다.

서울 아파트값은 이 기간 3.09% 올랐고 부산의 집값도 1.97% 상승했다. 반면 지방은 여전히 침체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경남·경북의 집값은 2.1~2.7% 떨어졌다.

서울과 지방의 집값 양극화 현상은 더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수요가 탄탄한 서울의 집값은 현 수준을 유지하거나 소폭 오르겠지만, 입주 물량이 몰린 수도권 일부 지역과 지방은 집값 조정이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미분양 아파트 추이도 지역별로 갈렸다. 2013년 이후 수도권 미분양 아파트 물량은 63.5% 줄었지만 지방 미분양 아파트 물량은 51.1% 급증했다.

2013년에는 미분양 주택 6만 1091가구 가운데 수도권 아파트는 3만 3192가구로, 전체의 54.3%를 차지했다. 그러나 올 7월 말 현재 지역별 미분양 물량은 전체 5만 4282가구 중 수도권이 1만 2117가구로 22.3%에 불과했다. 2013년과 비교하면 수도권에서는 미분양이 2만 1075가구 감소한 반면 지방에서는 1만 4266가구 늘어났다.

분양시장에서도 양극화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서울, 부산 등 대도시에서는 높은 청약경쟁률을 기록하는 반면 지역 주택시장은 미분양이 속출하고 있다. 주택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이달 분양경기실사지수(HSSI)가 80을 넘은 지역은 서울(87.3)과 부산(81.6)뿐으로 조사됐다. 특히 충남은 HSSI가 48.5, 충북은 53.3으로 나타났다.

서울 안에서도 지역에 따라 아파트 청약 열기가 갈렸다. 지난달 분양한 서초구 잠원동 ‘신반포센트럴자이’와 강남구 개포동 ‘래미안 강남포레스트’는 청약가점이 50~70점대로 높았다. 반면 비슷한 시기 분양한 구로구 항동 ‘한양 수자인 와이즈 파크’는 23점에 불과했다.

류찬희 선임기자 chani@seoul.co.kr
2017-10-24 2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