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 연 3% 뛰면 공유형보다 생애최초구입 유리”

“집값 연 3% 뛰면 공유형보다 생애최초구입 유리”

입력 2013-09-11 00:00
업데이트 2013-09-11 15: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우리銀 시뮬레이션…집값 연 1% 오를 땐 공유형 최적집값 보합 유지해도 전세보다 주택구입 유리

내달 1일 출시되는 수익·손익공유형 모기지 대출을 이용할 경우 집값이 크게 하락하지 않는다면 전·월세를 사는 것보다 주거비용이 적게 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집값이 연 3% 이상 오르는 상승기에 생애최초 주택구입자가 집을 구입하는 경우에는 수익·공유형에 비해 생애최초 주택구입자금 대출이 더 유리했다.

11일 국토교통부가 우리은행에 의뢰해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시세 2억5천만원짜리 주택을 집값이 연 3%씩 올라 7년 후 3억600만원에 매각할 경우 총 주거비용이 수익공유형은 1천354만원, 손익공유형은 1천508만원이 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출원리금과 보유자금의 기회비용, 취득세·재산세 등 제세금, 이사비용 등을 모두 합한 결과다.

이에 비해 이 집을 구입하지 않고 1억7천만원에 전세로 7년간 거주한다면 5천380만원의 주거비용이 들 것으로 예상됐다.

이는 8천만원의 자기자본을 제외한 나머지 9천만원을 시중은행을 통해 연 4.5%의 금리로 전세자금대출을 받고 전셋값이 연 3.1% 상승한 경우를 가정한 것이다.

만약 같은 주택에 보증부 월세로 거주한다면 가장 많은 7천508만원의 주거비용이 소요됐다.

이에 비해 생애최초 주택구입자금 대출을 받아 주택을 구입하면 시세차익을 감안해 56만원이 이득인 것으로 나타났다.

수익·손익공유형은 집값 상승에 따른 시세차익을 국민주택기금과 배분하지만 생애최초 주택구입자금은 시세차익을 온전히 집주인이 가져가기 때문이다.

반면 집값이 연 1%만 오른다고 가정하면 7년간 필요한 수익공유형의 주거비는 2천826만원으로 가장 유리했다.

이어 생애최초(3천811만원), 손익공유형(3천815만원), 전세(5천380만원), 보증부 월세(7천508만원) 등의 순으로 분석됐다.

7년간 주택가격이 변동이 없거나 연 1%씩 하락하는 것을 가정해도 전세를 사는 것에 비해서는 공유형 모기지를 이용하는 것이 유리했다.

시뮬레이션 상으로 집값이 연 3%씩 하락해야 대출을 받아 집을 사는 것보다 전세가 주거비용이 덜 들었다.

장우철 주택기금과장은 “공유형 모기지를 통해 전세수요가 매매로 전환되는 효과가 기대된다”며 “투자 관점에서 집값이 오를 때는 생애최초 기본형, 내릴 때는 전월세, 불확실한 경우에는 공유형 모기지 대출이 유리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