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례 모델하우스 사흘만에 7만명… “시장 회복 아니다”

위례 모델하우스 사흘만에 7만명… “시장 회복 아니다”

입력 2013-06-24 00:00
업데이트 2013-06-24 00: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현대·삼성 분양 관심 끌어…시세보다 싼 가격 주효한 듯

대형 건설사들의 아파트 모델하우스에 수요자들이 대거 몰리고 있으나 이를 시장 회복의 단초로 보기 어렵다는 전문가들의 지적이 나왔다. 전문가들은 한꺼번에 물량이 많이 풀리는 바람에 일부는 흥행에 실패하며 미분양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23일 임현묵 신한은행 부동산팀장은 “현대건설과 삼성물산이 분양경쟁을 벌이고 있는 위례는 서울 강남권과 인접한 신도시라는 점 때문에 수요자들의 관심이 높다”며 “현대건설과 삼성물산의 분양가가 주변 시세보다 싼 것이 주효했던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하지만 분양시장이 부동산시장을 주도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내다봤다. 임 팀장은 “매매시장이 오르면 분양시장이 뒤따라 인기를 끌던 과거와 다른 양상”이라며 “수도권 공급물량만 3만 가구가 넘는 등 공급폭탄이 이어지면 미분양도 우려된다”고 말했다.

현대건설과 삼성물산의 모델하우스를 찾은 방문객은 21일부터 사흘간 현대건설이 3만 5000여명, 삼성물산이 3만 6000여명 다녀간 것으로 추산된다. 계약 상담을 하기 위한 대기자도 하루 100여명에 달하는 등 뜨거운 관심을 반영했다. 대우건설과 동부건설이 21일 문을 연 경기도 김포시 ‘김포풍무 푸르지오 센트레빌’ 모델하우스에도 사흘간 3만 5000여명이 찾았다.

이들 대형 건설사의 신규 분양에 수요자들이 몰리는 것은 주변 시세보다 3.3㎥당 200만~300만원 정도 싼 분양가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서울 강서구 마곡지구, 가재울뉴타운4구역 ‘DMC가재울4구역’, 서초구 내곡동, 성동구 하왕십리동 등 분양 물량이 줄줄이 대기하고 있어 부동산 시장은 기대감 속에 미분양에 대한 우려가 감돌고 있다.

분양시장 인기와 반대로 아파트 매매시장은 위축되는 모양새다. 특히 이달 말 취득세 감면 혜택 종료를 앞두고 있어 거래도 뜸하다. 4·1 부동산 종합대책 이후 상승을 주도해온 서울 재건축 아파트의 낙폭도 커지고 있다. 매매시장 하락세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대기업 건설연구소의 한 연구원은 “주택공급과잉 상황의 지속, 주택가격 상승에 대한 기대심리의 증발 등 주택거래량의 증가를 끌어내기 어려운 상황에서 주택 가격의 추가 하락 가능성은 매우 높다”고 전망했다.

부동산114가 21일 기준으로 조사한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이번 주 0.06% 떨어져 4주 연속 하락했다. 일부 서울 주요 재건축아파트 단지 가격은 4·1 대책 발표 전보다 오히려 떨어졌다. 강동구 둔촌동 둔촌주공1단지(공급면적 26.45㎡) 매매가격은 3억 500만원으로 3월 말보다 6.15% 내렸다. 강남 개포동 시영아파트(공급면적 42.98㎡) 가격도 5억 500만원으로 석 달 전과 비교해 5.61% 떨어졌다.

홍혜정 기자 jukebox@seoul.co.kr

2013-06-24 1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