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TI 규제 부활 첫날] 주택수요자 다시 관망… 대출창구 한산

[DTI 규제 부활 첫날] 주택수요자 다시 관망… 대출창구 한산

입력 2011-04-02 00:00
업데이트 2011-04-02 00: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달 초부터 주택담보대출 문의가 확 줄었습니다.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 부활 첫날이라고 크게 달라질 건 없습니다.”

정부의 ‘3·22 부동산대책’에 따라 DTI 규제가 부활한 1일, 경기 과천의 한 시중은행 점포 대출상담 창구는 한산한 모습이었다. 은행 직원은 “3·22 대책 이후 매수심리가 바닥”이라고 강조했다.

●“매매계약서 한장도 작성못해”

이미지 확대
버블세븐 지역인 평촌신도시 비산동의 Y공인중개업소 윤모 사장도 “대출을 받아서 적극적으로 집을 사겠다는 사람이 없는데 누가 문의전화를 하겠느냐.”면서 “매매 계약서 한장 작성하기도 버겁다.”고 푸념했다.

업계에 따르면 이달부터 서울과 수도권의 DTI 규제가 제자리를 찾으면서 주택 수요자들은 관망세에 접어들었다. 주택 관련 제도 중 주택 수요자에게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 DTI이기 때문이다.

지난달 말까지 서초·강남·송파 등 서울 강남3구를 제외한 서울과 수도권 전 지역에선 DTI 규제 적용이 한시적으로 배제됐지만 이제는 종전처럼 서울과 수도권 수요자들은 지역별로 40~60%를 적용받는다.

서민들이 주택구입에 어려움이 없도록 1억원 이하 소액대출에는 규제가 적용되지 않고, 6억원 이하 주택의 경우 고정금리·비거치식·분할상환 등을 충족하면 15%포인트가 가산된다. 하지만 경기 용인 동백동의 K공인중개업소 관계자는 “대출규정이 여전히 까다로워 조건을 충족하기 어렵고 전반적으로 (DTI 규제가) 매매시장에 부정적인 요인만 끼친다.”고 불평했다.

실제로 이곳 백현마을 코아루아파트 전용면적 112㎡는 3·22 대책 발표 직전 3억 7000만~3억 8000만원에 시세가 형성됐지만 최근 3억 6000만원 선까지 가격이 주저앉았다. DTI 규제 부활이란 악재에 금리 추가 인상 우려로 매수심리가 악화된 탓이다.

●개포 주공아파트도 거래 없어

개포지구단위계획 변경안이 통과되면서 호재를 맞은 개포동 주공아파트도 이날 상황은 비슷했다. 호가만 올랐을 뿐 역시 거래가 이뤄지지 않았다. 이남수 신한은행 팀장은 “DTI 규제 부활의 영향은 이미 시장에 반영돼 있다.”면서 “개포지구도 호재가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데 다른 재건축과 일반아파트는 어떻겠느냐.”고 반문했다.

전세시장도 불안하기는 마찬가지다. 급등세에서 벗어나 안정세를 찾았지만 평촌·분당·일산 등 신도시는 여전히 오름세를 유지하고 있다. 김주철 닥터아파트 팀장은 “DTI 규제 부활로 매매거래가 활성화되지 않는다면 올가을 전셋값 급등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오상도기자 sdoh@seoul.co.kr
2011-04-02 6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