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세라티·벤틀리… 수억대 고급차 ‘광풍’

마세라티·벤틀리… 수억대 고급차 ‘광풍’

입력 2014-02-20 00:00
업데이트 2014-02-20 01: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벤츠·BMW는 너무 흔해” 고객들 나만의 브랜드 차별화

최근 국내 수입차 시장에서 벤츠와 BMW의 점유율이 40%까지 오르면서 독일 프리미엄 수입차를 타던 고객층이 초고가 자동차 시장으로 빠르게 옮겨가고 있다. 거리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벤츠나 BMW 대신 웬만해서는 넘볼 수 없는 ‘그들만의 브랜드’로 차별성을 두고 싶어 하는 모습이다.

이미지 확대
마세라티의 기블리
마세라티의 기블리
이미지 확대
벤틀리의 플라잉스퍼
벤틀리의 플라잉스퍼
19일 수입차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에서 130대 정도를 판매한 이탈리아 마세라티는 지난해 10월 이후 사전 예약만 200대에 달했다. 불과 3개월 만에 한 해 전체 판매량이 넘는 예약이 몰린 셈이다. 마세라티 관계자에 따르면 200대 중 절반은 1억 900만원대에 출시된 보급형 모델 기블리 예약 물량이다.

강남의 매장에서 만난 한 판매 사원은 “1억원 초반에 마세라티를 만날 수 있는 기블리가 출시되면서 특히 젊은 연령층으로부터 예약이 폭주하는 실정”이라면서 “차량을 인도 받으려면 최소 3개월은 기다려야 할 정도”라고 말했다. 그는 “예약자 대부분은 벤츠나 BMW 등 다른 수입차 고객들로 나만의 차를 가지고 싶어 하는 심리가 구매 동기”라고 귀띔했다.

최저가 모델이 2억~3억원을 육박하는 벤틀리도 지난달 신규로 등록된 물량만 30대를 기록했다. 연간 164대를 팔아 2006년 한국 진출 이후 최고의 실적을 올린 지난해 월평균 판매 대수(13.5대)와 비교해도 2배 이상에 달하는 수치다.

신형 플라잉스퍼와 GT V8모델 등이 판매를 견인 중이다. 벤틀리 관계자는 “한국의 프리미엄카 수요가 생각보다 빠르게 느는 추세”라면서 “젊은 층을 공략하기 위한 8기통 엔트리급 모델을 중심으로 판매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럭셔리 스포츠카 브랜드인 포르쉐의 판매 역시 최근 무섭게 늘고 있다. 2012년 1516대, 2013년 2041대로 최근 2년간 매년 30%가량 증가하는 추세다.

벤츠코리아 관계자는 “일부 다른 브랜드를 경험하고 싶은 고객층을 중심으로 이동 현상이 나타나는 건 사실이지만 그렇다고 크게 긴장할 수준은 아니라고 본다”고 말했다.

유영규 기자 whoami@seoul.co.kr
2014-02-20 16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