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U+도 광대역 LTE 서비스 상용화

LGU+도 광대역 LTE 서비스 상용화

입력 2013-12-31 00:00
업데이트 2013-12-31 03: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울 중구·수원·안양시 등 7개 시·구 주요 지역 대상

SK텔레콤(SKT), KT에 이어 LG유플러스(LGU+)도 최대 150Mbps 속도의 광대역 롱텀에볼루션(LTE) 서비스를 상용화했다. LGU+는 30일 다운로드와 업로드 속도가 모두 기존 LTE의 두 배인 ‘풀(Full) 광대역 LTE’ 서비스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우선 상용화되는 곳은 서울 중구, 종로구, 강남구, 서초구, 은평구, 경기 수원시, 안양시 등 7개 시·구 주요 지역이다. 여기서는 기존 LTE 휴대전화로는 최대 100Mbps, LTE-어드밴스트(A) 휴대전화로는 최대 150Mbps의 속도를 즐길 수 있다.

특히 LGU+의 광대역 LTE는 이를 먼저 상용화한 경쟁사들과 달리 업로드 속도도 LTE의 2배인 최대 50Mbps다. SKT와 KT는 업로드 쪽 주파수 대역 일부가 공공 목적으로 분류돼 있어 광대역 LTE도 업로드 최대 속도는 25Mbps다. LGU+ 관계자는 “업로드 속도가 빨라 사진, 동영상을 서버에 저장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등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LGU+는 지난 8월 신규 LTE 주파수 할당 경매에서 기반 시설이 없던 2.6㎓ 대역을 할당받았다. 이에 기지국 설치 등의 부담이 커 경쟁사들보다 광대역 LTE 서비스를 늦게 시작하게 됐다. 하지만 광역시, 전국망 서비스는 경쟁사들과 비슷한 시기에 상용화할 것으로 보인다. LGU+는 내년 2월 말부터는 수도권 대부분 지역, 3월에는 광역시, 7월에는 전국에서 광대역 LTE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또 광대역 주파수와 기존 LTE 주파수 대역을 묶어 최고 225Mbps 속도를 내는 서비스도 준비 중이다. SKT와 KT도 내년 하반기쯤 225Mbps 속도 서비스를 상용화한다고 밝혔다.

한편 미래창조과학부는 이날 ‘2013 통신 서비스 품질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이통 3사의 LTE-A 평균 속도는 47.2Mbps로 측정됐다. 사업자별로는 SKT가 56.2Mbps로 가장 빨랐고 KT가 50.3Mbps, LGU+가 43.1Mbps였다.

강병철 기자 bckang@seoul.co.kr
2013-12-31 1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