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제한 데이터요금제 잡음에 소비자 혼란

무제한 데이터요금제 잡음에 소비자 혼란

입력 2011-05-09 00:00
업데이트 2011-05-0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새달 대체 요금제 전환 논란… SKT·방통위 “사실무근”

스마트폰의 ‘무제한 데이터 요금제’를 둘러싼 소비자들의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일각에서 무제한 요금제가 이달부터 폐지된다는 관측을 내놓자 업체와 정부가 ‘사실 무근’이라고 반박하는 등 잡음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이미지 확대
연합뉴스
연합뉴스


그러나 무제한 데이터 요금제가 폭발적인 데이터 사용량 증가와 음성통화 끊김 현상의 주범으로 지목받고 있는 만큼, 이를 둘러싼 논란은 계속될 전망이다.

8일 일부 보도에 따르면 이달 중 정부의 통신요금 인하 방안 발표에 즈음해 무제한 데이터 요금제를 대체하는 새로운 요금제가 방송통신위원회의 승인을 거쳐 시행될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위해 SK텔레콤과 방통위가 새 요금제에 대해 협의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무제한 요금제 폐지는 이 요금제 가입자들이 전체 데이터 사용량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심지어 음성통화 품질까지 떨어뜨리는 등 부작용이 심각해지고 있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이에 따라 무제한 요금제 대신 이용자가 음성과 데이터, 문자 사용량을 임의로 선택할 수 있는 ‘모듈형 요금제’가 유력한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용자들에게 충분한 데이터 사용량을 보장하는 대신 불필요하게 24시간 이동통신망에 접속하는 ‘통신 남용 도덕적 해이’를 적극 차단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논란의 중심에 있는 방통위와 SK텔레콤은 요금제 폐지가 사실이 아니라고 공식 해명했다.

방통위는 해명자료를 내고 “무제한 요금제 폐지와 관련해 방통위는 정책방침을 결정한 바 없으며, 사업자와 협의한 바도 없다.”고 강조했다. SK텔레콤 관계자도 “무제한 데이터 요금제 폐지를 위해 방통위와 협의한 적도 없고, 검토하지도 않고 있다.”면서 “스마트폰의 음성통화 끊김 현상은 통신망이 아닌 스마트폰 자체의 문제”라고 해명했다.

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
2011-05-09 1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