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산후조리원’ 베껴놓고…중국 “우리 고유문화” 해외수출도

한국 ‘산후조리원’ 베껴놓고…중국 “우리 고유문화” 해외수출도

김민지 기자
김민지 기자
입력 2024-05-08 09:46
수정 2024-05-08 09:4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분기 출산율이 처음으로 0.6명대로 떨어지며 저출산 현상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28일 오후 서울 시내 한 산후조리원 신생아실에서 간호사 등 관계자가 신생아들을 돌보고 있다. 2024.2.28 연합뉴스(공동취재)
분기 출산율이 처음으로 0.6명대로 떨어지며 저출산 현상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28일 오후 서울 시내 한 산후조리원 신생아실에서 간호사 등 관계자가 신생아들을 돌보고 있다. 2024.2.28 연합뉴스(공동취재)
중국이 한국의 산후조리원 모델을 그대로 베껴 해외수출까지 하고 있어 산후조리원 문화를 두고 중국과 ‘원조(元祖)’ 논란이 불거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지난 6일 기획재정부가 발간한 육아정책연구소 연구용역 보고서 ‘산후조리원 해외 진출 활성화를 위한 시장조사 및 지원방안 연구’에 따르면 산후조리원은 1996년 한국에서 생겨났다. 핵가족화로 가족의 도움을 받기 어려워지게 되자 가정 밖에서 산후조리원 문화가 발전하기 시작했다.

중국에서는 1999년 산후조리원이 생기기 시작했다. 한국의 산후조리원을 이용한 적이 있는 중국 산모가 베이징에 ‘신마마 산후조리원’을 차린 게 시초다. 그 뒤 산후조리원 사업이 빠르게 확산했고 중국은 한국보다 많은 산후조리원을 보유하게 됐다. 지난해 중국 내 산후조리원 수는 5454개로 한국(469개)의 11배가 넘는다.

중국은 산후조리원의 명칭을 ‘위에즈센터(⽉⼦中⼼)’로 바꾸고 산후조리원 문화를 자국의 고유 문화 시설인 것처럼 내세우고 있다. 위에즈센터는 중국에서 산모가 출산 후에 한 달 동안 집에 머무르며 쉬게 하는 전통인 줘위에즈에서 파생된 이름이다.

보고서에선 “중국 내 산후조리원 대부분은 중국 업체가 한국의 운영 노하우만 뺏어온 독자적인 문화 시설로 강조하고 있다”며 “향후 중국과 원조 논쟁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중국은 산후조리원을 중국화하는 데에만 머무르지 않고 전 세계에 기업화한 산후조리원을 수출하고 있다. 중국의 유명 산후조리원 체인인 세인트벨라 산후조리원은 1300억원가량을 투자 받아 지난해 10월부터 싱가포르에 호텔형 산후조리원을 운영 중이다.

보고서에선 중국의 산후조리원 기업들에 대해 “(글로벌 시장에서) 한국의 잠재적인 경쟁자로 부각될 가능성이 높다”고 짚었다.

한국도 2010년 만성적인 서비스 수지 적자를 해결하기 위해 산후조리원을 ‘10대 유망 중소 해외진출’에 포함하고 수출을 독려했지만 이렇다 할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저출산 현상에 따라 내수 시장이 줄어들고 있어서다.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북특별자치도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가능할까?
전북도가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도전을 공식화했습니다. 전북도는 오래전부터 유치를 준비해 왔다며 자신감을 보였지만 지난해 ‘세계잼버리’ 부실운영으로 여론의 뭇매를 맞은 상황이라 유치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도 있습니다. 전북도의 올림픽 유치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가능하다
불가능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